• {url:./treeAjax?siteMode=prod}

문헌고략(文獻攷略)

자료명 문헌고략(文獻攷略)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文獻攷略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2079 MF번호 MF35-496~498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通制·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94(정조 18년)
· 청구기호 K2-2079
· 마이크로필름 MF35-496~498
· 기록시기 1794年(正祖 18) 以後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유일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29.1 X 19.0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20권(卷) 20책(冊)
· 판식 반곽(半郭) 18.4×19.0㎝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의 정치·경제·사상·문화·역사 전반에 관한 주요 사실을 문헌 자료를 전거로 정리한 책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 판심제, 서근제가 모두 ‘文獻攷略’이다. 표지 장황은 회색 종이에 卍字 문양이 있는 것이다. 본문의 판식은 四周雙邊에 어미가 上下內向上二葉花紋下黑魚尾의 印札空冊紙에 10行 20字로 맞추어 楷書로 쓴 필사본이다. 책 수는 20권 20책이다. 본문 중간중간에 頭註가 달려 있다. 인장은 ‘李王家圖書之章’을 날인하였다.
체제 및 내용
서문과 발문 등 편찬 연대와 편찬자를 알 수 있는 자료가 없다. 권1에 실린 연표에 정조까지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순조 이후에 편찬되었음을 알 수 있다. 國朝, 祀典, 事大, 官職, 政敎, 文藝, 天文, 地理, 邊禦, 歷代 등 10개 영역으로 나누어 조선에 관련된 주요 사실을 정리했다. 서술 분량은 영역별로 다른데, 권1에 국조·사전, 권2∼4에 사전, 권5∼6에는 사대, 권7∼11에는 관직, 권12∼14에는 정교, 권15에는 문예, 권16에는 천문, 권17에는 지리, 권18∼19에는 변어, 권20에는 역대에 관한 사실을 실었다. 조선의 현재를 담고 있는 사항이 전면에 배치되고, 천문, 지리, 역사와 같은 영역은 뒤에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본문은 여러 문헌에서 발췌한 자료를 시간순으로 배치하며 서술했다. 활용한 자료는 『五禮儀』, 『國朝寶鑑』, 『東國文獻備考』, 『輿地勝覽』, 『通文館志』, 『故事撮要』, 『磻溪隨錄』, 『潛谷集』, 『懲毖錄』, 『眉叟記言』, 『芝峯類說』, 『梧里遺事』, 『筆苑雜記』, 『公私見聞』, 『石潭遺事』, 『三韓古紀』, 『政府故事』, 『聽竹畵史』, 『龍泉談寂記』, 『朝野僉載』, 『大東韻府群玉』 등 국가나 민간에서 편찬한 것으로, 기사에 따라 전거를 밝히기도 하였다.
각 영역에서 다루는 주제는 조선의 현재와 과거를 일목요연하게 살필 수 있도록 배려했다. 이를테면 권8의 「관직전고」에서는 제사를 먼저 싣고 혁파된 관서 또한 실어 두어, 조선에서 출현했던 전 관서의 역사를 살필 수 있도록 했다. 혁파된 관서로는 濟生院, 宗學, 豊儲倉, 義鹽倉, 架閣庫, 解典庫, 司醞署, 司畜署, 昭格署, 太淸觀, 活人署, 閱巫署, 司贍寺, 內俯司, 都染署, 典艦司, 壽昌宮提擧司, 景福宮提擧司, 敬德宮提擧司, 典涓司, 修城禁火司, 禮儀詳定所, 延慶宮提擧司, 敬興俯 등이 실려 있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편찬 시기나 편찬 주체가 명확하지 않지만, 영조 대에 간행된 『동국문헌비고』와 유사한 성격을 지니면서도 많이 다르다. 19세기 조선에서 國故文獻을 정리하는 방식에 대한 주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참고문헌

東國文獻備考

집필자

정호훈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