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태상지(太常志)

자료명 태상지(太常志) 저자 이근명(李根命)
자료명(이칭) 太常志 저자(이칭) 李內翰(朝鮮) 編
청구기호 K2-2043 MF번호 MF35-236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職官類/官制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73(고종 10년)
· 청구기호 K2-2043
· 마이크로필름 MF35-236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이근명(李根命)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6.9 X 23.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6권(卷) 3책(冊)
· 판식 반곽(半郭) 24.8×17.1㎝
· 인장 藏書閣圖書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66년(영조 42) 奉常寺의 관치 연혁과 조직 및 업무 등을 정리한 책을 1873년(고종 10)에 중간한 것이다.
서지사항
서문에 “上之十年癸酉(1873)夏 大匡補國崇祿大夫領中樞府事 月城李裕元謹敍”라 하여 중간 시기가 1873년이며, 서문을 월성 이유원이 썼음을 알 수 있다. 발문에는 “嘉善大夫宗正卿 完山 李寅卨 謹題”라 하여 李寅卨가 썼음을 알 수 있다. 본서는 全 6卷 3冊으로, 第1冊 卷首에는 序·太常官全圖 등 圖版·凡例·目錄이 실렸고, 各冊마다 2卷씩 收錄하여 第1冊은 卷之一·二, 第2冊은 卷之三·四, 第3冊은 卷之五·六으로 되어 있으며, 卷末에 跋文이 添載되어 있다. 奎章閣本이나 本載書閣本이 모두 寫本인바, 본서는 매우 단정한 筆致로 精書되었다.
체제 및 내용
본서 제6권 卷末의 「文獻釐正」條에 依하여 編纂沿革을 보면, 英祖朝와 高宗朝 兩次에 걸쳐 『太常志』 編成作業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태상지』는 1766년(영조 42)1873년(고종 10) 두 차례 편찬되었다. 규장각영조 연간에 8권 2책으로 편찬된 것이 전하고, 본서는 1873년에 간행된 것으로 6권 3책으로 개편하였다.
제1권의 권두에는 봉상시 官宇의 평면도인 〈太常官廨全圖〉 외에 〈宗廟大享陳設圖〉, 〈宗廟俗節朔望祭陳設圖〉, 〈大報壇大享陳設圖〉, 〈社稷大享陳設圖〉, 〈諸陵忌辰祭陳設圖〉, 〈諸陵節享陳設圖〉, 〈諸陵告由祭陳設圖〉, 〈景慕宮大享陳設圖〉, 〈顯隆園忌辰祭陳設圖〉, 〈陳設圖〉, 〈顯隆園告由祭陳設圖〉, 〈永昭廟春秋享陳設圖〉, 〈文禧廟節享陳設圖〉, 〈儲慶宮春秋享陳設圖〉, 〈各宮廟告由祭陳設圖〉, 〈順昌園節享陳設圖〉, 〈昭慶園節享陳設圖〉, 〈孝昌園忌辰祭陳設圖〉, 〈順康園節享陳設圖〉, 〈各園所告由祭陳設圖〉, 〈文廟親享陳設圖〉, 〈文廟節祭陳設圖〉, 〈小祀諸壇陳設圖〉, 〈小祀諸祀陳設圖〉, 〈祭壇祈告別祭陳設圖〉, 〈北郊別祈禳祭陳設圖〉, 〈厲祭陳設圖〉, 〈厲壇無祀陳設圖〉 등 28도면을 삽입하였는데, 그 도설 중에는 1871년(고종 8) “辛未厘正”으로 개정된 것을 표기하였다. 도면 다음에는 70종에 이르는 祭器圖를 삽입하였다.
제1권에는 官宇의 건치 연혁과 관직을 기록하였는데, 봉상시는 신라시대 典祀署, 고려시대 太常寺, 典儀寺, 奉常寺에서 기원한 것으로 조선시대 태상시, 전사시, 전의시 등으로 별칭되었다. 조선 태조 연간 제사와 議諡를 관장하는 기관이던 봉상시태종 연간 경작, 제사, 주례 등을 관장하는 司農寺와 병합하였다. 1409년(태종 9) 일시적으로 典祀寺로 개칭되었으나, 1421년(세종 3)에 다시 봉상시로 複稱되었다. 제2권에는 영녕전, 대보단, 사직, 릉침, 영희전, 선원전, 선원전, 경모궁, 현릉원의 각종 제사를 정리하였다. 제3권에는 祀廟와 宮園, 大賓墓, 各宮房의 제사를, 제4권에는 문묘, 神室, 각종 신실의 제사, 관왕묘, 纛祭, 宣武祠, 玉樞丹祭, 溫泉各祭, 회맹제, 濬川祭의 제사와 耤田과 貢物을 정리하였다. 제5권에는 유과, 과실, 釀酒, 造脯, 沈鹽, 沈醬, 造餠 등 饌品과 그 조리법을, 제6권에는 祭服과 祭品, 薦新, 祈禱祭, 國恤各祭, 請臺, 藏氷, 封山, 柴場, 節惠, 考課, 典隸 등을 정리하였다.
특성 및 가치
조선시대 국가의 공식적인 각종 제사의 유래와 제향되는 대상 등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또한 耤田의 내력과 운영, 제물에 관계되는 공물의 내용과 내력, 제물의 제조, 제기와 제사 동원 인원과 천신 절차 등 조선시대 국가 제사의 운영에 대한 제반 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사료이다.

집필자

정은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