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윤발(綸綍)

자료명 윤발(綸綍) 저자 이왕직실록편찬회(李王職實錄編纂會) 편(編)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李王職實錄編纂會 編
청구기호 K2-1916 MF번호 MF35-874~90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詔令·奏議類/詔令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001책 002책 003책 004책 005책 006책 007책 008책 009책 010책 011책 012책 013책 014책 015책 016책 017책 018책 019책 020책 021책 022책 023책 024책 025책 026책 027책 028책 029책 030책 031책 032책 033책 034책 035책 036책 037책 038책 039책 040책 041책 042책 043책 044책 045책 046책 047책 048책 049책 050책 051책 052책 053책 054책 055책 056책 057책 058책 059책 060책 061책 062책 063책 064책 065책 066책 067책 068책 069책 070책 071책 072책 073책 074책 075책 076책 077책 078책 079책 080책 081책 082책 083책 084책 085책 086책 087책 088책 089책 090책 091책 092책 093책 094책 095책 096책 097책 098책 099책 100책 101책 102책 103책 104책 105책 106책 107책 108책 109책 110책 111책 112책 113책 114책 115책 116책 117책 118책 119책 120책 121책 122책 123책 124책 125책 126책 127책 128책 129책 130책 131책 132책 133책 134책 135책 136책 137책 138책 139책 140책 141책 142책 143책 144책 145책 146책 147책 148책 149책 150책 151책 152책 153책 154책 155책 156책 157책 158책 159책 160책 161책 162책 163책 164책 165책 166책 167책 168책 169책 170책 171책 172책 173책 174책 175책 176책 177책 178책 179책 180책 181책 182책 183책 184책 185책 186책 187책 188책 189책 190책 191책 192책 193책 194책 195책 196책 197책 198책 199책 200책 201책 202책 203책 204책 205책 206책 207책 208책 209책 210책 211책 212책 213책 214책 215책 216책 217책 218책 219책 220책 221책 222책 223책 224책 225책 226책 227책 228책 229책 230책 231책 232책 233책 234책 235책 236책 237책 238책 239책 240책 241책 242책 243책 244책 245책 246책 247책 248책 249책 250책 251책 252책 253책 254책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29
· 청구기호 K2-1916
· 마이크로필름 MF35-874~903
· 기록시기 1929~1930年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이왕직실록편찬회(李王職實錄編纂會)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6.9 X 19.7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불분권(不分卷) 254책(冊)
· 판식 반곽(半郭) 22.3×15.6㎝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정조 재위 기간의 모든 綸音을 모아 등사한 자료이다.
서지사항
불분권 254冊으로, 表紙書名, 卷首題는 ‘綸綍’, 書根題는 ‘綸綍’과 책에서 기록을 포함한 달, 版上口에는 기록을 포함한 달이 기재되어 있다. 간혹 권수제가 기재되어 있지 않은 책도 있다. 청색 표지의 線裝本으로, 표지 서명은 표지 좌측에 기재되어 있고, 우측에 각 책이 포함한 기록의 달이 기재되어 있다. 필사에는 ‘李王職原稿紙’가 사용되었다. 각 책의 표지 이면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고, 본문 제1면 우측 하단에 개인 인장 1課가 찍혀 있다. 본문 곳곳에 빨간 글씨로 수정한 흔적이 보인다. 매 책의 마지막에 필사한 시기와 필사자, 검사한 시기와 검사자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간혹 검사자의 도장이 찍혀 있는 경우도 있다. 필사 시기와 검사 시기를 미루어 볼 때 이 책은 1929~1930년에 필사된 것으로 보인다.
체제 및 내용
이 책은 상소와 차자에 대한 批答, 備忘記, 判付, 敎書, 綸音 및 각종 傳敎 등 모든 王言을 일자별로 정리한 것이다. 1776년(정조 즉위) 3월 10일, 자신이 思悼世子의 아들임을 천명한 전교로부터 1800년(정조 24) 6월 28일 王世子에게 大寶를 전한다는 전교에 이르기까지 정조 재임 기간 전체의 왕언을 망라하였다. 상단의 欄外에 ‘어제에서 나왔다(出御製).’ 등의 정보를 간략히 부기하였다.
본서의 저본은 규장각 소장의 『綸綍』(奎12855)로 추정된다. ‘綸綍’이라는 서명으로 해당 국왕의 王言을 모두 취합한 사례는 『高宗實錄1874년(고종 11) 1월 23일 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종규장각에 명하여 『윤발』과 『일성록』을 수정, 보충하라는 명을 내린 바 있다. 祖宗의 王言을 별도의 책으로 편찬하는 전통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이 책의 저본이 고종조에 편찬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이 책은 1929년부터 이듬해까지 조선사편수회에서 傳寫한 것이다. 각 책의 말미에 필사 및 검수 시기와 담당자의 성명을 부기하였다. 필사는 1929년 9월 14일에 시작하여 같은 해 12월 10일, 검수는 같은 해 11월 13일에 시작하여 이듬해 2월 21일에 마쳤다. 필사는 權純九, 金炳明, 金碩彬, 朴鎬陽, 濱野鐘太郞, 徐晩淳, 水橋復比古, 嚴基相, 吳裕善, 尹鳳燮, 李淳榮, 李源贊, 鄭琦民, 鄭殷弼, 鄭寅昉, 崔星煥, 崔在允, 韓相穆, 玄槶, 洪明基, 洪在萬 등이 수행하였으며, 검수는 閔泳直, 李準聖, 李中鉉, 洪鍾瀚 및 필사자의 일부가 수행하였다.
특성 및 가치
이 책의 수록 내용을 『정조실록』 및 『승정원일기』, 『일성록』과 대조하면 字句에서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적지 않다. 특히 이 책의 1779년(정조 3) 10월 16일자 비답에 18字를 抹去한 흔적을 그대로 재현하고, 난외에 ‘이상 18자는 신축년(1781) 12월 10일 전교로 인해 말거하였다.’라고 부기하였는데, 이는 여타 사료에 나타나지 않는 흔적이다. 이로 보건대 이 책이 왕언의 원형에 보다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高宗實錄
正祖實錄
承政院日記
綸綍』, 규장각 소장본(奎12855)
日省錄

집필자

장유승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