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어제상훈(御製常訓)

자료명 어제상훈(御製常訓) 저자 영조(英祖)
자료명(이칭) 御製常訓 저자(이칭) 英祖(朝鮮王, 1694 - 1776) 御製
청구기호 K2-1854 MF번호 MF35-2181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詔令·奏議類/詔令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K2-1854:01
· K2-1854:02
· K2-1854:03
· K2-1854:04
· K2-1854:05
· K2-1854:06
· K2-1854:07
· K2-1854:08
· K2-1854:09
· K2-1854:10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45(영조 21년)
· 청구기호 K2-1854
· 마이크로필름 MF35-2181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영조(英祖) 어제(御製)

형태사항

· 크기(cm) 32.0 X 20.5
· 판본 목판본(木版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5.5×16.8㎝
· 인장 宣賜之記, 宣賜祗受, 侍講院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영조1745년(영조 21) 6월 8일에 세자와 후대 왕들에게 국왕으로서 갖추어야 할 도리를 가르치기 위해 편찬한 訓書이다.
서지사항
장서각에는 同書가 10部 있다. 表紙書名과 卷首題, 版心題, 書根題는 ‘御製常訓’이다. 황색 표지의 線裝本으로, 木板本이다. 표지 서명은 표지 좌측에 기재되어 있고, 표지 우측 상단에 ‘英祖’라 기록되어 있다. 책이 작성된 時期는 본문 마지막에 “旹乙丑季夏八日題”란 기록을 통해 1745년임을 알 수 있다. A본은 목록 우측 상단에 ‘宣賜之記’, 우측 하단에 ‘侍講院’ 印章이 있고, 본문에 구결이 있다. B본은 권수제 아래에 ‘宣賜祗受’ 인장이 있고, 인쇄에 壯紙를 사용했다. D본은 목록 우측 하단에 ‘侍講院’ 인장이 있고, 본문에 구결이 있다. F본은 목록 우측 상하에 다른 크기의 ‘侍講院’ 인장이 있고, 구결이 있다. 또 본문 13·15·18장의 서두에는 종이에 글을 써서 붙인 기록이 남아 있다. G본은 목록 우측 상단에 ‘宣賜之記’ 인장이 있다. H본은 인쇄에 장지를 사용했고, I본은 목록 우측 하단에 인장 1顆가 찍혀 있다. J본은 목록 우측 상단에 ‘侍講院’ 인장이 있고, 본문에 구결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교서관에서 목판으로 간행하였으며, 간행 후 판목은 史閣에서 보관하였다.
본서의 내용은 「目錄」과 「首序」, 본문, 「後跋」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록」에는 『어제상훈』 8개 조항의 제목이 기록되어 있다. 「수서」는 본서의 저술 목적을 밝힌 글이다. 창업과 중흥의 군주는 창업·중흥의 과정에서 많은 시련을 겪으면서 정치의 요체를 터득하여 국정을 잘 운영할 수 있지만, 수성의 군주는 대부분 어려움을 모르고 편하게 자라기 때문에 정치의 요체를 알기 어려우므로 후세 군주들에게 군왕의 도리를 가르치기 위해 이 글을 지었다고 하였다.
본문은 『어제상훈』의 각 조항을 설명한 것으로, 「敬天」, 「法祖」, 「惇親」, 「愛民」, 「祛黨 (附)任賢使能 辨讒」, 「崇儉 (附)容直納諫」, 「勵精 (附)敬大臣體羣臣」, 「勤學 (附)崇儒重道」 등의 8개 조항으로 되어 있다. 「敬天」에서는 국가의 治亂이 敬天에 달려 있다고 했으며‚ 「法祖」에서는 祖宗의 心法과 政敎를 계승할 것을 강조했다. 「惇親」에서는 친족 간의 화목을‚ 「愛民」에서는 애민의 중요성을 서술했고, 「祛黨」에서는 붕당의 타파를 역설했다. 또 「崇儉」에서는 사치의 폐단과 節用의 중요성을, 「勵精」에서는 大臣·群臣을 대하는 도리를 설명하였다. 끝으로 「勤學」에서는 군왕이 학문에 정진해야 앞의 7가지 조항들이 제대로 실천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후발」에는 후대 국왕들이 이 글을 읽고 자신의 마음과 뜻을 헤아려서 교훈의 내용을 어기지 말 것을 당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한편, 본서에는 서문과 본문의 「祛黨」 항목까지 각 구절에 구결이 기록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영조의 정치 이념과 국정 운영의 기본 원칙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承政院日記
서울대학교 규장각 편, 『英祖御製訓書⑴』, 2003.

집필자

강문식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