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관선(館選)

자료명 관선(館選)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舘選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1824 MF번호 MF35-305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詔令·奏議類/詔令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64
· 청구기호 K2-1824
· 마이크로필름 MF35-305
· 기록시기 高宗年間(1864~1895)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4.5 X 22.9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불분권(不分卷) 3책(冊)
· 판식 반곽(半郭) 25.0×19.6㎝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趙漢國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63년(철종 14) 12월 哲宗이 서거한 이후부터 1864년(고종 1)까지 대왕대비 神貞王后가 내린 傳敎와 신하들이 올린 上疏·箚子 등을 모아 정리한 책이다.
서지사항
사격만자문 문양의 흰색 종이로 표지를 하였으며, 검은 띠를 두른 흰 제첨에 表紙書名 ‘館選’과 冊次 ‘一~三’이 필사되어 있다. 동일한 書名과 冊次가 書根에도 표기되어 있다. 제1책과 제2책은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에 13행의 계선이 있는 인찰공책지에 필사되어 있으나, 제3책에는 어미가 없다. 첫 면에는 ‘李王家圖書之章’과 ‘趙漢國印’이 날인되어 있다. 조한국(1865~?)은 고종 연간 문신으로 규장각대교, 同副承旨添書, 議政府都憲 등을 거쳤다.
체제 및 내용
본서의 정확한 제작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수록된 전교나 상소·차자 등이 1863~1864년에 작성된 것들이므로, 그 이후 고종 연간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서는 모두 3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책에는 1863년 12월 8일 철종이 서거한 후 고종이 즉위하고 李昰應이 대원군으로 봉해지는 과정에서 대왕대비가 내린 전교의 내용이 실려 있다. 또 철종 국장 시 철종 殯殿에 대왕대비가 직접 올린 進香文과 敦寧府, 8道 監營, 4都 留守府 등에서 올린 進香文, 그리고 대원군을 비롯한 조정 중신들이 올린 輓詞의 내용들도 수록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책에는 1864년 1월과 7월에 대왕대비가 내린 전교 2편과 정부 관료들이 올린 상소 86편이 실려 있다. 이 중 대왕대비 전교를 보면, 1월의 전교는 새 국왕이 즉위한 때를 맞아 중앙과 지방의 관료들이 각자 자신의 책무를 충실하게 수행할 것을 당부한 내용이고, 7월의 전교는 고종의 誕日을 맞아 사면령을 내린다는 내용이다.
제3책에는 정부 관료들이 올린 상소와 차자 67편과 對策文 1편, 通文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대책문은 帝王學의 중요성을 강조한 내용이며, 통문은 徐憲淳의 부인 전주이씨의 烈行을 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성 및 가치
고종 즉위 초기 중앙 정부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참고가 되는 자료이다. 또한 연대기에 실리지 않은 상소들도 다수 있어서, 연대기 자료의 미비점을 보완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高宗實錄
承政院日記

집필자

강문식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