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갱장록(羹墻錄)

자료명 갱장록(羹墻錄) 저자 이복원(李福源)
자료명(이칭) 羹墻錄 , 갱장록(羹墻錄n1-4책) 저자(이칭) 趙埈(朝鮮) 等奉敎纂輯 ; , 조준(趙埈)
청구기호 K2-161 MF번호 MF35-938, 16-282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雜史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K2-161:01
· K2-161:02
· K2-161:03
· K2-161:04
· K2-161:05
· K2-161:06
· K2-161:07
· K2-161:08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86(정조 10년)
· 청구기호 K2-161
· 마이크로필름 MF35-938, 16-282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이복원(李福源) 등(等) 찬(撰)

형태사항

· 크기(cm) 32.6 X 21.6
· 판본 금속활자본(金屬活字本)(정유자(丁酉字))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8권(卷) 4책(冊)
· 판식 24.9×17.1cm
· 인장 奎章之寶, 摛文院, 茂朱赤裳山史庫所藏朝鮮總督府寄贈本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정조의 명으로 李福源(1719~1792) 등이 조선 역대 왕들의 盛德과 事業을 분류별로 찬집한 책이다.
서지사항
金屬活字인 丁酉字로 간행한 판본으로, 장서각에는 同書가 9部 소장되어 있다. 編題面은 靑色으로 인쇄되어 있으며, 編題인 ‘羹墻錄’의 좌우에 ‘丙午編纂’, ‘外閣校印’이 판각되어 있다. 表紙書名, 版心題, 書根題는 모두 ‘羹墻錄’이다. 卷末의 1786년(정조 10)에 지은 跋을 통해 본 도서가 이 무렵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甲本의 앞표지 面紙에는 ‘赤裳山城’이라는 기록이 있다. ‘李王家圖書之章’, ‘奎章之寶’,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이 날인되어 있다. 冊次는 ‘元·亨·利·貞’으로 표기되어 있다. 乙本에는 ‘奎章之寶’, ‘摛文院’(제2, 4책)이 날인되어 있다. 표지 우측 상단에 編目이 기재되어 있으며, 책차는 ‘一·二·三·四’로 표기되어 있다. 두꺼운 帖冊紙를 사용하였다. 丙本에는 인장이 날인되어 있지 않으며, 두꺼운 첩책지를 사용하였다. 丁本에는 ‘摛文院’(제3, 4책)이 날인되어 있다. 표지 우측 상단에 편목이 기재되어 있으며, 두꺼운 첩책지를 사용하였다. 戊本에는 ‘摛文院’(제2책)이 날인되어 있다. 제1책은 일반 楮紙를 사용하고 표지에 편목이 기재되어 있지 않은 반면, 제2~4책은 두꺼운 첩책지를 사용하고 책차 및 편목이 필사되어 있다. 己本에는 ‘奎章之寶’가 날인되어 있으며, 제1책 표지 색깔이 다르다. 庚本에는 ‘奎章之寶’, ‘摛文院’이 날인되어 있다. 壬本에는 ‘奎章之寶’가 날인되어 있다. 책차는 ‘元·亨·利·貞’으로 표기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羹墻’은 를 앙모하였다는 의미로 『갱장록』은 일반적으로 선왕들의 사적, 정치, 유훈 등을 분류한 책을 말한다. 1785년(정조 9) 정조영조李世瑾이 편찬한 『聖朝羹墻錄』을 열람한 후, 자신이 일찍이 영조의 행록과 垂訓을 기록했던 『갱장록』에 기초하여 列朝의 행적 전반을 포함하는 갱장록을 구상하고, 李福源 등 10여 인에게 편찬케 하여 이듬해 완성하였다. 이복원 등은 『성조갱장록』 외에 『列聖御製』, 『列聖誌狀』, 『國朝寶鑑』, 『龍飛御天歌』, 『經國大典』, 『五禮儀』, 『文獻備考』, 『祖鑑』, 『常訓輯編』 등을 참조하였다.
권두에 이복원이 올린 箋文, 편찬자 명단, 범례가 있다. 본문은 열성조의 행적을 20편의 항목에 따라 분류하였다. 권1은 創業·敬天, 권2는 篤孝·治梱,·裕昆·敦親·典學·來諫, 권4는 用人·勤民, 권5는 毖祀·定制, 권6은 右文·詰戎, 권7은 化俗·懋功, 권8은 恤刑·理財·接下·建中이다. 恢德量, 勸農桑 등 7조의 부록도 있다. 항목 구성은 왕조 창업의 정당성과 왕실 번영의 방책을 밝히고, 역대 왕들의 盛德·업적·예악형정의 제도와 정책 등을 구체적으로 서술하는 방식이다. 종편인 「建中」에서는 성인의 공업과 교화가 ‘執中’과 弘範의 ‘建極’에 있음을 밝혔다. 권말에 발문이 있다.
특성 및 가치
역대 왕들의 사적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다. 아울러 영조 대와 정조 대 왕권 강화 노력을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다.

참고문헌

正祖, 『弘齋全書

집필자

이경구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