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강감정사약(강감졍약)

자료명 강감정사약(강감졍약) 저자 고석주(顧錫疇), 진홍모(陳弘謀)
자료명(이칭) 강감졍사약전 , 강감졍사약(綱鑑正史鑰) 저자(이칭) 고셕쥬(明) 원편 ; , 고셕쥬(明) 원편 진흥모 증졍(고셕쥬(明) 원편 진흥모 증졍)
청구기호 K2-144 MF번호 MF35-907, 127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別史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36]
· 청구기호 K2-144
· 마이크로필름 MF35-907, 1273
· 기록시기 [1736年 以後]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고석주(顧錫疇)(명(明))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7.2 X 20.9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5권(卷) 5책(冊)
· 인장 藏書閣圖書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明代 顧錫疇(1585~1646)가 쓴 『綱鑑正史約』의 언해본으로, 중국 상고시대부터 元代까지의 역사를 요약한 綱目體 史書이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고석주가 편찬하고 陳弘謀(1696~1771)가 增訂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진홍모는 후일 청 건륭황제의 이름을 피휘하여 ‘陳宏謀’로 바꾸어 표기했다. 본 소장본의 증정자는 ‘진홍모’로 표기되어 있다. 장서각 소장본에는 밝혀져 있지 않지만, 진홍모가 쓴 한문본 『강감정사략』의 서문에는 이 책의 편찬 동기가 드러나 있다. 『資治通鑑』과 『資治通鑑綱目』에서 한 자씩을 따와 ‘綱鑑’이라는 제목을 붙이고 『통감』과 『강목』이 편찬된 의미를 본받고자 하였다. 본 장서각 소장본의 제1책에는 권1, 제2책에 권2, 제3책에 권3, 제4책에 권4~5, 제5책에 부긔[附記]가 실려 있다.
권1에는 삼황오뎨긔[三皇五帝紀], 하긔[夏紀], 샹긔[商紀], 듀긔[周紀]가 실려 있다. 권2에는 듀긔 령왕[靈王]부터 실려 있으며, 권3에는 듀긔 원왕(元王)부터 진긔[秦紀] 시황제 일부가 실려 있다. 권4에서는 권3의 진긔를 이어 필사한 후 한긔[漢紀]를 필사했다. 권5의 권수제에는 卷數가 적히지 않은 채 ‘강감졍약 권’으로 되어 있지만 한긔를 이어 필사했으므로 내용상 권5일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이상이 제4책까지의 내용이다. 제5책에는 반고(E77C), 텬황(E77C), 지황(E77C) 등에 대한 개략적 내용을 다룬 부긔가 실려 있다. 그 뒤에는 「녁(E3A8)국호가」, 「갑긔원녁(E3A8)건도고부」가 실려 있다. 참고로 목판으로 간행된 한문본 『綱鑑正史約』에는 元紀 順帝 至正 17년까지 기록되어 있으며, 附紀 및 甲子紀元[歷代建都考附], 歷代國號之圖는 卷首에 실려 있다.
기술 방법은 제목이나 편제를 한글음으로 기재하고, 나머지 본문은 한글로 번역하는 방식이다. 대문을 번역하고 註疏는 한 글자 내려 번역하였다. 또 細註 부분은 小字雙行으로 기재하였다.

집필자

김소희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