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주제분류

삼례수권(三禮手圈)

자료명 삼례수권(三禮手圈) 저자 정조(正祖) 편(編)
자료명(이칭) 三禮手圈 저자(이칭) [正祖(朝鮮王, 1752-1800) 초編]
청구기호 K1-59 MF번호 MF35-649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經部/禮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경부
· 작성시기 1777
· 청구기호 K1-59
· 마이크로필름 MF35-649
· 기록시기 1777~1800年(正祖年間)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일반주기 總冊: 共三
· 내용주기 儀禮手圈, 周禮手圈, 禮記手圈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정조(正祖)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2.0 X 21.2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불분권(不分卷) 3책(冊)
· 인장 弘齋, 萬幾之暇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정조가 『의례』 경문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의절을 직접 초출하여 1798년(정조 22)에 편찬한 예서이다.
서지사항
표지의 왼편에 ‘三禮手卷’의 서명과 冊次가 필사되었고, 표지 우측 상단에는 편명이 기록되었다. 내용은 上下向二葉花紋魚尾의 印札空冊紙에 정성스럽게 쓴 것으로, 첫 장에 정조의 인장 ‘弘齋’와 ‘萬幾之暇’가 날인되어 있다. 주색 冊絲로 五針眼釘되었고, 書根에 書名과 冊次가 보인다.
체제 및 내용
이 책 내에는 편찬 배경과 시기, 찬자 등을 알 수 있는 단서가 없다. 『홍재전서』 제181권에도 『삼례수권』이 수록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관련 사항을 찾을 수 있다. 手圈은 손수 둥근 점으로 표시한다는 말인데, 곧 중요한 점이나 낙점한 곳의 둥근 점을 표시 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 책은 정조에 의해 1798년(정조 22)에 편찬되었다. 정조가 쓴 「親撰示校正諸學士」를 보면, “朱子는 『儀禮』를 經으로, 『戴禮』를 傳으로 생각하였으니 魯나라에 있던 禮와 함께 후세에 바꾸지 못할 법이 된 것은 오직 『의례』뿐이다. 그래서 『의례』에 批圈하면서 『周禮』와 『戴禮』까지 비권하고 『三禮手圈』이라 하였다”고 하였다. 여기에서 『戴禮』는 『禮記』를 가리킨다. 편찬 목적은 “앞장서서 예를 밝혀서 조정에서나 민간에서나 서로 겸양하는 분위기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게 하려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본문은 『의례』의 편차에 따라 經文의 일부를 초출하여 수록하였다. 의절마다 줄을 바꾸어 기록했으며, 각 의절의 끝에는 핵심이 되는 주제어를 쌍행으로 적어놓았다.
특성 및 가치
국가와 사회의 안정된 질서를 구축하는 수단으로 유용한 예서의 편찬에 정조가 직접 관여한 사실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홍재전서

집필자

임민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