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주제분류

시권4(試券4)

자료명 시권4(試券4) 저자 미상(미상)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MF번호
유형분류 고문서/기타 주제분류 기타
수집분류 민간/기증·기탁·조사/고문서 자료제공처 디지털아카이브(SJ_ARC_BB)
서지 디지털아카이브 해제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 서지정보 서지 xml

닫기
한글문서명시권4
한자문서명試券4
이명(한글)
이명(한자)
수취(한글)미상
수취(한자)미상
발급(한글)미상
발급(한자)미상
찬자(한글)이병유
찬자(한자)李秉裕
발급목적이병유의 31세시 시권(賦)
간행년(서기력)高宗28   1891 -
유형고문서
크기58x206cm
관인수
청구기호
소장처원소장처와 동일
소장처1경상북도
소장처2경주시
소장처3安康邑 玉山1里 1600番地 李海轍
MF
자료유형전통명가소장고문서자료(전통시대지방사회경제사자료)

해제정보

해제작성자김채식
해제작성일2002-07-10
간행처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해제작성언어국한문 혼용
해제내용
試券4
김채식
【정의】
俶載南畝播厥百穀賦. 李秉裕(1861~1922)의 1891년 增廣文科초시 시험 답안.
【내용】
[주제]
‘俶載南畝播厥百穀’이란 구절은 ꡔ詩經ꡕ에서 세 군데 나온다. 「小雅․大田」, 「周頌․載芟」, 「周頌․良耜」에 나오는데, 봄이 되어 남쪽 밭에 가서 온갖 곡식을 파종한다는 의미이다. 이에 대해, 백성의 농사는 늦출 수 없고 파종하지 않으면 수확도 없으니 이제 온갖 곡식을 파종할 때가 되었고, 임금이 明堂에 임하여 농사를 권장하고 남쪽 하늘에 곡식을 맡은 별(穀宿)이 떠올랐으니 힘을 합하여 공동으로 경작하면 큰 풍년을 이루어 태평의 노래를 부를 수 있을 것이라는 취지로 답안을 작성하였다.
[용어]
增廣試는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式年試 이외에 실시된 임시과거이다. 東堂試는 文科(大科)를 달리 부르는 말로, 궁중 안에서 임금이 친히 임하여 시험한다는 의미이다.
[인물]
ꡔ여주이씨족보ꡕ에 보면, 이병유는 字가 德純으로 驪州 李氏 求菴公派 24세손이다. 1861년(철종 12 辛酉)에 태어나 1922년(壬戌)년 사망하였다. 부인은 安東 權卓運의 따님과, 月城 金氏 두 사람이 기록되어 있다.
[지명]
【특징】
이 시권은 대전․중궁전․세자궁의 병환이 회복되어 경사가 세 가지가 겹치자 增廣東堂試를 열었을 때의 시험 답안이다. 達城에서 시험이 치러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른쪽 여백에는 ‘三黃’이라는 성적이 세 군데에 써 있다.
【비고】
[작성정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08.16
해제작성,입력,교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제작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