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주제분류

간찰116(簡札116)

자료명 간찰116(簡札116) 저자 이석사(李碩士)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MF번호
유형분류 고문서/기타 주제분류 기타
수집분류 민간/기증·기탁·조사/고문서 자료제공처 디지털아카이브(SJ_ARC_BB)
서지 디지털아카이브 해제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 서지정보 서지 xml

닫기
한글문서명간찰116
한자문서명簡札116
이명(한글)
이명(한자)
수취(한글)김양순
수취(한자)金陽淳
발급(한글)이석사
발급(한자)李碩士
찬자(한글)미상
찬자(한자)미상
발급목적자신의 근황을 알리고 簡紙 40폭, 周紙 2축, 網纓 2건 등을 선물함
간행년(서기력)純祖32   1832 -
유형고문서
크기32.6x48.2cm
관인수
청구기호
소장처원소장처와 동일
소장처1경상북도
소장처2경주시
소장처3安康邑 玉山1里 1600番地 李海轍
MF
자료유형전통명가소장고문서자료(전통시대지방사회경제사자료)

해제정보

해제작성자김상환
해제작성일2002-07-10
간행처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해제작성언어국한문 혼용
해제내용
簡札116
김상환
【정의】
임진년(1832, 純祖 32) 납월(臘月:음력 12) 18일에 관찰사로 있던 김양순(金陽淳)이 경주 계정(溪亭) 이석사댁(李碩士宅)에 보낸 편지이다.
【내용】
[주제]
전에 찾아주신 것에 감사드리고 세모(歲暮)에 안부를 여쭌 다음 자신은 재해를 당한 해에 백성들을 진휼(賑恤)하고 곡식을 옮기는 일로 바쁜 정황을 알리는 사연이다. 끝에 간지(簡紙) 40폭(幅)과 주지(周紙) 2축(ꟍ), 망영(網纓) 2건(件)을 올린다는 추기(追記)가 있다.
[용어]
궁납한극(窮臘寒劇)은 섣달의 매서운 추위를 말하고, 재세(灾歲)는 흉년이 든 해, 총신(叢身)은 몸에 몰려옴을 뜻한다. 주지(周紙)는 주첩(周帖), 주축(周軸)이라고도 하는데, 두루마리를 뜻한다.
[인물]
기말(記末) 양순(陽淳)은 조선 후기의 문신인 김양순(金陽淳:1776, 영조 52~1840, 헌종 6)으로 보인다. 그의 본관은 안동, 자는 원회(元會), 호는 건옹(健翁)이니, 아버지는 군수 이례(履禮)이다. 1803년(순조 3) 사마시를 거쳐, 1808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가 되었다.
[지명]
【특징】
재해를 당한 해에 관리가 백성들을 진휼(賑恤)하기 위하여 곡식을 옮기는 등의 일로 분주했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비고】
이 편지는 건옹(健翁)이 1822년 대사성(大司成), 1825년 이조참판, 1827년 대사헌(大司憲)을 거처 1833년 이조판서에 임명되기 한 해 전에 쓴 것이다.
[작성정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08.16
해제작성,입력,교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제작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