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유형분류

간찰84(簡札84)

자료명 간찰84(簡札84) 저자 미상(未詳)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MF번호
유형분류 고문서/기타 주제분류 기타
수집분류 민간/기증·기탁·조사/고문서 자료제공처 디지털아카이브(SJ_ARC_BB)
서지 디지털아카이브 해제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 서지정보 서지 xml

닫기
한글문서명간찰84
한자문서명簡札84
이명(한글)
이명(한자)
수취(한글)오시복
수취(한자)吳始復
발급(한글)미상
발급(한자)未詳
찬자(한글)미상
찬자(한자)미상
발급목적안부를 물은 다음 감을 보내준 것에 대한 사례로 역서와 붓, 먹 등을 선물한다는 내용
간행년(서기력)肅宗18   1692 -
유형고문서
크기41.5x32.5cm
관인수
청구기호
소장처원소장처와 동일
소장처1경상북도
소장처2경주시
소장처3安康邑 玉山1里 1600番地 李海轍
MF
자료유형전통명가소장고문서자료(전통시대지방사회경제사자료)

해제정보

해제작성자김상환
해제작성일2002-07-10
간행처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해제작성언어국한문 혼용
해제내용
簡札84
김상환
【정의】
임신년(1692, 肅宗 18) 2월 25일에 시복(始復)이 보낸 편지이다.
【내용】
[주제]
작년에 문안을 받고 아직 답장도 하지 못하여 미안한 가운데 근래 다시 편지를 받고 안부를 살폈다는 인사를 전하고, 자신은 그런 대로 지낸다는 근황을 말한 다음 감을 보내준 것에 사례하는 사연이다. 역서 달력 2권과 붓 3자루, 먹 2개를 올린다는 추기(追記)가 있다.
[용어]
계거(啓居)는 거처를 말하고, 약정(略呈)은 소략(疏略)하나마 올린다는 뜻이다.
[인물]
시복(始復)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오시복(吳始復:1637, 인조 15~?)으로 보인다. 본관은 동복(同福). 자는 중초(仲初), 호는 휴곡(休谷). 정규(挺奎)의 아들이다. 1662년(현종 3)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이어 수찬․정언․지평․교리․이조정랑․사인 등을 거쳐 1675년(숙종 1) 승지․이조참판․개성유수를 역임하고, 강릉부사가 되었다가 부임 전에 허적(許積)에게 아첨하였다 하여 1680년 경신대출척 때 파직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이조참판에 이어 한성판윤․호조판서가 되었다.
[지명]
【특징】
서로 그간의 안부를 교환하고, 물품을 보내 준 것에 사례하는 지극히 짧은 편지이다.
【비고】
[작성정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08.16
해제작성,입력,교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제작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