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

모시전주쇄관(毛詩傳注刷管)

자료명 모시전주쇄관(毛詩傳注刷管) 저자 모형(한)(毛亨(漢)) 전(傳), 공영달(당)(孔穎達(唐)) 정의(正義), 이규준(李圭晙) 쇄관(刷管)
자료명(이칭) 毛詩傳注刷管 저자(이칭) 毛亨(漢) 傳 ;
청구기호 K1-36 MF번호 MF35-139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經部/詩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경부
· 작성시기 1926
· 청구기호 K1-36
· 마이크로필름 MF35-139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일반주기 紙質: 洋紙
· 내용주기 毛詩傳注刷管目錄, 詩譜序 -- 卷1-4. 國風 -- 卷5-7. 小雅 -- 卷8-9. 大雅 -- 卷10. 周頌, 魯頌, 商頌 -- 欽定四庫全書毛詩傳審定, 毛詩注疏校勘記, 阮氏校勘毛詩諸本, 重刊宋板注疏總目錄, 毛詩疏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모형(毛亨)(한(漢)) 전(傳)

형태사항

· 크기(cm) 22.2 X 15.1
· 판본 신연활자본(新鉛活字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0권(卷) 1책(冊)
· 인장 藏書閣圖書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毛詩傳』의 注疏를 刷管의 형식으로 교감하고 정리한 책이다.
서지사항
원표지에는 목판으로 인쇄한 題籤에 書名이 인쇄되어 있다. 마지막 장에는 ‘大正十五年十一月二十七日 印刷, 大正十五年十一月三十日 發行’이라는 간기가 인쇄되어 있다. 뒷면의 겉표지 이면에는 西紀一九七三年十二月 藏書閣 再裝이라는 기록이 있어 겉표지는 당시 장서각에서 改裝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石谷 李圭晙(1855~1923)은 漢唐 古儒들의 注疏를 존중하였고, 스스로 『六經疏注명』를 刪定하여 『六經注』를 편술하였는데, 이 가운데 하나가 바로 『毛詩傳注刷管』이다. 이 책을 크게 세 부분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經文을 포함한 注疏를 적시하여 본문의 의미를 분명하게 찾으려고 하였다. 둘째, 書記와 校本 등을 제시하여 참고문헌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毛詩疏義訂疑』를 부록하여 기왕의 注疏에 의문이 나는 사항을 적시하고 자신의 견해를 訂曰이라는 형식으로 기록하였다.
毛詩傳書記로는 欽定四庫全書毛詩傳審定과 李圭晙의 毛詩注疏校勘記가 기재되어 있다. 毛詩校本으로는 『唐石經』 20권, 『南宋石經殘本』, 『孟蜀石經殘本』 2권, 『宋小字本』 20권, 『重刊相臺岳氏本』 20권, 『十行本』 70권, 『閔本注疏』 70권, 『明監本注疏』 70권, 『沒古閣毛氏本注疏』 70권이 기재되어 있다. 宋板目錄으로는 重刊宋板注疏總目錄이 기재되어 있다.
부록인 『毛詩疏義訂疑』는 正風, 變風, 小雅, 大雅, 頌의 5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李圭晙은 古注에 따라 周南과 召南을 正風으로 하고 邶風 이하를 變風으로 구성하였다. 正風이란 德化가 미치고 질서가 유지되는 시대의 노래를 뜻하며, 變風은 덕화가 쇠하고 질서가 무너지는 시대의 노래를 뜻한다.
특성 및 가치
송대 性理學의 학풍에 갇혀있지 않고 자신의 입장을 古注의 입장에서 찾는다는 점에서 경학사직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詩經集傳』,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2010.

집필자

전성건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