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

용감수경(龍龕手鏡)

자료명 용감수경(龍龕手鏡) 저자 행균(요)(行均(遼)) 저(著)
자료명(이칭) 龍龕手鏡 저자(이칭) 行均(遼) 著
청구기호 K1-181 MF번호 MF35-1364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經部/小學類/字書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키워드 高麗版龍龕手鏡解說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경부
· 작성시기 1928
· 청구기호 K1-181
· 마이크로필름 MF35-1364
· 기록시기 1928~1929年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일반주기 附錄: 高麗版龍龕手鏡解說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행균(行均)(요(遼)) 저(著)

형태사항

· 크기(cm) 28.8 X 21.0
· 판본 영인본(影印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4권(卷) 2책(冊)
· 판식 반곽(半郭) 23.6×17.4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997년(北宋 至道 3) 중국 요나라의 승려 行均이 편찬한 字典의 복간본을 영인한 것이다.
체제 및 내용
체제는 新修龍龕手鏡序와 本文으로 되어 있다. 新修龍龕手鏡序는 편찬자인 행균이 직접 쓴 것이 아니고, 승려 智光이 썼다. 행균중국의 승려들이 문자를 해독하지 못하여 불교의 경전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점을 안타깝게 여겨 승려들의 문자 교육을 위하여 이 책을 편찬하였음을 밝히고 이 책에 수록된 글자의 숫자 등에 대해 밝히고 있다.
본문은 모두 4권으로 수록된 글자는 26,430여자이다. 이를 242개의 部首로 나누고 각 部首마다 해당 한자를 다시 平, 上, 去, 入의 4성으로 나누어 배열하였다. 아울러 각 글자마다 반절로 음을 달고 간단한 주석을 붙였으며 古字와 今字, 俗字 또는 變體, 別體등의 글자를 기록하여 字書로서의 역할을 다하게 하였다.
이 책은 宋나라 때 다시 간행되는데, 翼宗의 이름인 과 책이름의 鏡이 동일하여 이를 피하기 위하여 『龍龕手鑑』으로 이름이 바뀌기도 하였다. 본 도서는 권말에 1925년京城帝國大學 敎授 藤塚鄰이 쓴 高麗板龍鑑手鏡解說이 붙어 있는다. 이 해설에서 본 도서가 고려시대 복각본임과 刊記에 昭和 4년(1929)으로 기록되어 이 시기에 영인되었음을 밝혔다.
특성 및 가치
龍龕手鏡』은 한국 한자음 자료가 아니고 중국 한자음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그러나 이 책의 존재는 중국에서 발달한 운서가 이미 고려시대에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사용되었고 이에 따라 중국 성운학이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학문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정경일, 『한국 운서의 이해』, 아카넷, 2002. URL

집필자

정경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