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

간찰104(簡札104)

자료명 간찰104(簡札104) 저자 이생원(李生員)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MF번호
유형분류 고문서/기타 주제분류 기타
수집분류 민간/기증·기탁·조사/고문서 자료제공처 디지털아카이브(SJ_ARC_BB)
서지 디지털아카이브 해제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 서지정보 서지 xml

닫기
한글문서명간찰104
한자문서명簡札104
이명(한글)
이명(한자)
수취(한글)이채
수취(한자)李埰
발급(한글)이생원
발급(한자)李生員
찬자(한글)미상
찬자(한자)미상
발급목적關西問答을 刪定한 것과 文集 完刊을 축하하고, 大學章九補遺 등의 重刊에 대하여 논의함
간행년(서기력)肅宗15   1689 -
유형고문서
크기43.7x32.5cm
관인수
청구기호
소장처원소장처와 동일
소장처1경상북도
소장처2경주시
소장처3安康邑 玉山1里 1600番地 李海轍
MF
자료유형전통명가소장고문서자료(전통시대지방사회경제사자료)

해제정보

해제작성자김상환
해제작성일2002-07-10
간행처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해제작성언어국한문 혼용
해제내용
簡札104
김상환
【정의】
을년(乙年) 3월 9일에 채(埰)가 이생원에게 보낸 편지이다.
【내용】
[주제]
뜻밖에 멀리서 편지를 받고 안부를 전한 다음 자신은 고향으로 돌아간 뒤에 집안에 염병(染病)이 퍼져 피신하느라 고생하는 정황을 전했다. 이어 ꡔ관서문답(關西問答)ꡕ을 당세의 거공(巨公)에게 산정(刪定)했으니 평생의 소원을 이루었다고 축하하고, 보유(補遺) 「발문(跋文)」을 받은 것에 대해서도 축하하였다. 월초에 이미 마쳤지만 물력(物力)이 부족하여 대학(大學)을 중간(重刊)하는 것은 재력이 넉넉한 때를 기다리기 위하여 보내온 발문을 챙겨 두었다고 전하였다. 끝에 아이의 이질로 급히 집으로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다하지 못한다는 등의 사연이다.
[용어]
의표(意表)는 뜻밖, 존서(存書)는 안부를 묻는 편지, 괘루불실(掛漏不悉)은 괘일루만(掛一漏萬), 즉 하나만 말하고 만 가지는 빠트린 채 다하지 못함을 뜻한다. ꡔ관서문답(關西問答)ꡕ은 ꡔ관서문답록(關西問答錄)ꡕ이라 하는데, 잠계(潛溪) 이전인(李全仁:1516~1568)이 1547년(明宗 2)에 부친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을 모시고 배소(配所)인 평안도 강계(江界)로 가서 7년 동안 모시고 학문에 관한 교훈과 문답 50조목을 기록한 책이다. 이는 만년에 정립된 회재선생의 학문과 사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 가운데 하나이다. 을사년(1665, 顯宗 6)에 회재선생의 현손인 홍희(弘熙)에 의하여 간행되었던 것을 경자년(1720, 肅宗 46)에 다시 중간(重刊)하고, 신미년(1811, 純祖 11)에 후손들이 다시 중간하였다. 보유(補遺)는 회재선생이 주자(朱子)의 ꡔ대학장구ꡕ에 의문을 품고 대학의 편장(篇章)의 순서를 바꿔 의미를 새롭게 해석한 책으로, ꡔ대학장구보유(大學章句補遺)ꡕ라 한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경(經) 1장과 전(傳) 10장으로 구성된 주자의 ꡔ대학장구ꡕ에서 전의 제4장인 「본말장(本末章)」을 경문(經文)의 결어(結語)로 옮겨 전 1장을 줄이고, 제5장 「격치장(格致章)」 중에서 주자가 망실(亡失)되었다고 설명한 부분을 경문의 두 구절을 옮겨다 새로이 설정한 점이다. 뒤에는 주자의 ꡔ대학혹문(大學或問)ꡕ을 본뜬 ꡔ속대학혹문(續大學或問)ꡕ을 붙여 ꡔ대학장구ꡕ와 저자의 의견이 다른 점을 6개 조항의 문답식으로 보충 설명하였다.
[인물]
채(埰)는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의 양좌동파(良佐洞派) 쪽으로 현손(玄孫)이며, 교(皦)의 둘째아들이다.
[지명]
【특징】
ꡔ관서문답(關西問答)ꡕ을 산정(刪定)하고, 문집(文集) 완간(完刊)하며 보유(補遺) 「발문(跋文)」과 대학(大學)을 중간(重刊)한 정황에 대하여 알 수 있는 자료이다.
【비고】
앞의 간찰 103 참조.
[작성정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08.16
해제작성,입력,교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제작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