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

간찰80(簡札80)

자료명 간찰80(簡札80) 저자 이수담(李壽聃)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MF번호
유형분류 고문서/기타 주제분류 기타
수집분류 민간/기증·기탁·조사/고문서 자료제공처 디지털아카이브(SJ_ARC_BB)
서지 디지털아카이브 해제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 서지정보 서지 xml

닫기
한글문서명간찰80
한자문서명簡札80
이명(한글)
이명(한자)
수취(한글)이봉징
수취(한자)李鳳徵
발급(한글)이수담
발급(한자)李壽聃
찬자(한글)미상
찬자(한자)미상
발급목적과경을 축하하고 명태 등 물품을 선물함
간행년(서기력)미상   미상 -
유형고문서
크기40.5x23.2cm
관인수
청구기호
소장처원소장처와 동일
소장처1경상북도
소장처2경주시
소장처3安康邑 玉山1里 1600番地 李海轍
MF
자료유형전통명가소장고문서자료(전통시대지방사회경제사자료)

해제정보

해제작성자김상환
해제작성일2002-07-10
간행처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해제작성언어국한문 혼용
해제내용
簡札80
김상환
【정의】
5월 망일(望日:음력 15)에 봉징(鳳微)이 보낸 편지이다.
【내용】
[주제]
어제 상대의 조카가 왔다 돌아갈 때 답장을 보내지 못하여 밤새 서운했다는 안부를 전하고, 상대의 동상(東床)이 득의(得意)하여 장차 돌아오리니, 계지(桂枝)와 편옥(片玉)의 광채가 집안에 나고, 촌로와 이이들이 길에 분주할 것이니, 그 영광과 경사는 필설로 다하기 어렵다는 축하의 뜻을 표하는 사연이다. 명태(明太) 열 묶음과 대구(大口) 네 마리를 올린다는 추기(追記)가 있다.
[용어]
동상(東床)은 사위, 여서(女壻)를 뜻한다. 진(晉)나라 태위(太尉) 극감(郤鑒)이 사윗감을 고르는데, 왕도(王導)의 집 동쪽에 놓인 평상 위에서 엎드려 음식을 먹고 있던 왕희지(王羲之)를 골랐다는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득의(得意)하여 장차 돌아온다는 말은 과거에 급제한 것을 뜻한다. 한정(汗呈)은 물품이 보잘 것 없어서 올리기에 땀이 난다는 뜻이다.
[인물]
봉징(鳳微)
[지명]
【특징】
과거(科擧)에 급제(及第)하는 것이 자신의 출세와 집안의 영광이었던 시대에, 편지를 통하여 상대의 사위가 급제하여 돌아오는 것을 축하하는 면모를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비고】
[작성정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08.16
해제작성,입력,교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제작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