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삼세가중간독(三世家中簡牘)

자료명 삼세가중간독(三世家中簡牘) 저자 정기수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MF번호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
수집분류 왕실/고서 자료제공처 장서각자료센터(SJ_ROY)
서지 장서각자료센터 해제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형식분류 고서-기타
· 내용분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
· 소장처 문중-거창 초계정씨 동계종택
· 작성시기 0000
· 비고 영인정보 : 『古文書集成 23 : 居昌 草溪鄭氏篇』(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5)
『古文書集成 80 : 居昌 草溪鄭氏篇(正書本)』(韓國精神文化硏究院, 2005)
· 소장정보 원소장처: 거창 초계정씨 동계종택
현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찬자 鄭岐壽 정기수 1622 - 1701

형태사항

· 크기(cm) 37 X 30
· 판본 필사본
· 장정 첩장
· 수량 24장
· 재질 종이
· 표기문자 한자

· 안내정보

닫기

내용

삼세가중간독
정기수가 자신의 아버지인 정창시, 할아버지인 정온, 증조인 정유명의 수필, 즉 자필 문서를 차례로 모아 엮은 책이다.

집필자

1차 집필자 : 문현주, 2차 집필자 : 성봉현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三世家中簡牘
[내용 및 특징]
鄭岐壽가 자신의 아버지인 鄭昌詩, 할아버지인 鄭蘊, 증조인 鄭惟明의 手筆, 즉 자필 문서를 차례로 모아 놓은 성책이다. 선대의 친필 문서를 오려서 붙여 놓았다.
표지 제목은 ‘三世家中簡牘’이라고 되어 있다. 첫 장에는 뒤에 실은 목록을 기재해 놓았는데 차례로 보면 曾祖考嶧陽府君手筆, 寄先祖桐溪公小札二, 先祖考桐溪府君手筆, 在濟州寄先考書, 上伯兄書 與弟奉事公書, 寄先考丙子書, 寄先考己卯書, 先考正郞府君手筆, 往濟州上伯父書, 雲峯時上先祖書, 與中季書二의 순으로 총 12개이다. 실제로 수록해 놓은 내용은 위의 목차와 조금 차이가 있다. 문서를 각각 잘라 붙이고 해당 문서와 그와 관련한 간단한 사항을 첨지에 써서 붙여 놓았다.
첫 번째로는 贈吏曹參判嶧陽府君手札이 붙어 있고 그 제목이 첨지로 붙어 있다. 다음은 亂中所寄라는 첨지 아래에 그 정황은 알 수 없으나 ‘居昌에서 전해오기를 왜적이 知禮에 도착하였고 또한 들으니 防禦使奉國寺에 있다고 한다. 너희들은 왜 빨리 피하지 않느냐. 적이 살상을 한다고 하니 속히 피하는 것이 가하다.’라고 하는 내용으로 기재되어 있다. 끝에 착명을 하였다.
다음은 갑인년 9월 10일에 정온이 아들 앞으로 작성한 手札이다. 멀리 유배를 와 있어서 노모를 아침 저녁으로 봉양할 수 없고 형제들이 떨어져 있고 처자를 돌볼 수 없어서 애석하다는 내용이다. 노모에게 불편함이 있으시거든 약을 짓는 등의 일에 정성을 쏟으라고 하였다. 끝에 父라고 쓰고 착명을 하였다.
다음은 정온이 兄主인 鄭緯 앞으로 작성한 上賀狀이다. 新春에 집안의 나쁜 기운이 소진되고 복스러운 경사가 와서 어머님이 강건하여 만수를 누리시니 기쁘다고 하며 자신은 불초하여 絶島에 떨어져 있지만 노모가 조석으로 맛있는 음식을 드시는 것 이외에는 다른 바람이 없다고 하였다.
이러한 식으로 정창시, 정온, 정유명의 手筆이 차례대로 정리되어 있다.
[자료적 가치]
鄭昌詩, 鄭蘊, 鄭惟明의 친필을 통해 당시 초계정씨가의 여러 정황을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古文書集成 23:居昌草溪鄭氏篇 影印本』解題 정순우·안승준 韓國學中央硏究員, 1995
「거창지역의 향토사 관련자료와 그 역사적 성격」 박병련·김학수 『거창의 향토문화와 고문서』, 한국정신문화연구원·거창문화원, 2001

집필자

1차 집필자 : 문현주, 2차 집필자 : 성봉현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