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영천 청제비(永川 菁堤碑)

자료명 영천 청제비(永川 菁堤碑) 저자 미상, 미상, 미상, 미상, 미상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MF번호
유형분류 고서/금석문 주제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수집분류 왕실/고서 자료제공처 장서각자료센터(SJ_ROY)
서지 장서각자료센터 해제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형식분류 고서-금석문
· 내용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 소장처유형 공공기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 (현재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도남동)
· 작성시기 536
· 비고

· 소장정보 원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현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미상
미상
미상
미상
미상

형태사항

· 유형 사적비(事蹟碑)
· 판본 낱장
· 탁본형태 습탁(濕拓)
· 수량 2면
· 표기문자 한자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경북 영천에 위치한 청제비(菁堤碑)의 탁본.
원자료제목
· 표제영천 청제비(永川 菁堤碑)
[내용 및 특징]
경북 영천시 동남쪽 경부고속도로 진입로 서편에 위치한 청제비(菁堤碑, 보물 제517호)의 탁본이다. 1968년 12월에 신라삼산학술조사단(新羅三山學術調査團)에 의해 발견되어 최초로 학계에 알려진 비석이다. 신라시대에 청제(菁堤)라는 저수지(貯水池)를 축조(築造) 및 수치(修治)하고 세운 기념비로, 당시 농업에 있어서의 수리시설(水利施設)과 관련되는 것이다.
비면에는 행간(行間)이나 윤곽선은 없고 양면을 가공하여 글자를 새겨 놓았는데 그 양면의 비문(碑文)은 각기 다른 연대와 내용을 담고 있다. 즉 한 면은 임진년(丙辰年, 法興王 23, 536)의 간지가 적혀 있는 것으로 청제를 처음 축조한 기념으로 새긴 축제기(築堤記)라고 할 성질의 것이다. 다른 면은 정원 14년(貞元, 元聖王 14, 798)의 절대연대가 적혀 있는 것으로 청제의 일부 무너진 둑을 다시 수리한 사실이 적혀 있는 수치기(修治記)이다. 문장은 사독(史讀)을 넣은 신라속한문체(新羅俗漢文體)이다.
비문은 병진명(丙辰銘)의 뒷면에 새겨져 있다. 병진명은 마멸이 심하여 판독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운 반면에 본 정원명(貞元銘)은 몇몇 이체자(異體字)를 제외하고는 거의 완벽하게 판독이 가능하다. 서체(書體)는 행서(行書)가 약간 가미된 해서체(楷書體)이며, 전체 12행으로 글자 사이의 간격은 매우 규칙적이나, 비의 모습이 정연하지가 못한 데서 기인한 듯 매행의 글자 수는 4자로부터 16자에 이르며 일정하지가 않다.
비문의 첫머리에는 중고기의 비들과는 달리 중국의 연호가 보여 그 절대연대를 확실하게 알 수가 있는데 정원(貞元)은 당(唐) 덕종(德宗)의 연호로 그 14년은 798년이다. 본비는 법흥왕 23년(536)에 축조된 저수지가 파손되었으므로 그를 수치(修治)하기 위하여 역역을 동원한 내용과 수치된 저수지의 규모를 나타내고 있다. 당시의 역역동원체제나 수리(水利) 관개에 대한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는 비문이다.
청제비의 서쪽으로 5m 떨어진 곳에 강희 27년(康熙, 肅宗 14, 1688)에 세워진 청제중립비(菁堤重立碑)가 있다. 이 비의 형식은 화강암을 가공한 장방형으로 개석(蓋石)과 기석(基石)은 처음부터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글씨는 해서체(楷書體)이고 자경(字徑)은 전면 5cm, 후면 6.2cm로 행수(行數)는 10行과 14行이다.
중립비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영천의 남쪽에 청제가 있는데 이 못의 북쪽에 비가 있다. 그 글에 ‘당나라 정원14년(798)에 임금이 양내사(兩內史)를 보내서 인부 14,800여명을 시켜 못을 막고 비를 세워 전말(顚末)을 기록했다’고 말하고 있다. 대개 이 못의 관개(灌漑)는 300여석이라 지금도 이익을 보고 있는데 지난 순치(順治) 계사년(1653년)에 어떤 사람이 절단한 바가 되어 흙속에 묻혀, 그 고적(古跡)이 부전(不傳)함을 애석해 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이제 여기에 고쳐 세워 이같이 기록한다. 아! 후인이 이 비로 말미암아, 이 못을 폐(廢)해서 안 되는 까닭을 생각하게 된다면 이 비가 이 못에 있어서 도움이 될 것이다.”
[자료적 가치]
신라의 역역동원 체제나 수리(水利) 관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비문으로 신라사 연구의 중요 자료이다.

참고문헌

『韓國古代金石文綜合索引』 / 權悳永 / 학연문화사, 2002 「新羅 統一期의 王室 直轄地와 郡縣制-菁堤碑 貞元銘의 力役 運營 事例 分析-」 / 河日植 / 『東方學志』 97,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소, 1997, 『韓國古代金石文資料集』 Ⅱ / / 國史編纂委員會, 1995 「新羅 中古 金石文 硏究」 / 趙東元 / 『國史館論叢』 42, 국사편찬위원회, 1993,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Ⅱ / 韓國古代社會硏究所 編 /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菁堤制度硏究」 / 權丙卓 / 『龍巖車文燮敎授華甲紀念 史學論叢』, 1989 『韓國古代史硏究會 會報』 13 / / 韓國古代史硏究會, 1988 「永川 菁堤碑를 통해 본 菁堤의 築造와 修治」 / 李宇泰 / 『邊太燮博士華甲記念 史學論叢』, 삼영사, 1985 「韓國古代의 尺度」 / 李宇泰 / 『泰東古典硏究』 1, 1984 『韓國金石全文』 古代篇 / 許興植 / 亞細亞文化社, 1984

집필자

성인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