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울주 천전리서석(蔚州 川前里書石)

자료명 울주 천전리서석(蔚州 川前里書石) 저자 미상, 미상, 미상, 미상, 미상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MF번호
유형분류 고서/금석문 주제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수집분류 왕실/고서 자료제공처 장서각자료센터(SJ_ROY)
서지 장서각자료센터 해제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형식분류 고서-금석문
· 내용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 소장처유형 공공기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지역 경상북도 울주군 (현재주소: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천전리)
· 작성시기 525
· 비고

· 소장정보 원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현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미상
미상
미상
미상
미상

형태사항

· 유형 사적비(事蹟碑)
· 크기(cm) 300.0 X 1000.0
· 판본 첩장본(帖裝本)
· 탁본형태 습탁(濕拓)
· 수량 1면
· 표기문자 한자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울주군 천전리에 위치한 암각화의 서석(書石)의 탁본.
원자료제목
· 표제울주 천전리서석(蔚州 川前里書石)
[내용 및 특징]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천전리에 위치한 길이 9.5m, 높이 2.7m의 암각화와 서석의 탁본이다. 서석에는 선사시대부터 신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가 기록되었다. 현재 국보 제147호이다.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와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다. 명칭은 본래는 각석(刻石: 새겨진 돌) 이라고 이름 붙여졌으나, 이후 서석(書石: 글씨가 새겨진 돌)이라고 이름을 바꾸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서석이라는 명칭도 사용되었다. 현재 각석, 서석, 암각화 등이 통용되고 있다.
서석의 명문에는 여러 가지 내용이 새겨져 있다. 우선 ‘신라 법흥왕 12년에 사탁부를 다스리던 사부지 갈문왕(사서에는 입종 갈문왕)과 그 누이 어사추여랑왕을 비롯한 여럿이서 놀러왔는데 돌도 참 좋고 해서 여기에 방명 남기고 간다.’는 내용이다. 함께 온 사람들과 사냥을 즐긴 사람, 음식을 한 사람과 명문을 새긴 사람의 이름까지 새겼다. 사부지 갈문왕은 법흥왕의 동생이자 진흥왕의 아버지이다. 이상의 내용이 본래 새긴 것이라 하여 원명(原銘)이라 지칭한다.
이후에 새긴 추명(追銘)은 1차 내용, 즉 원명을 새긴 것이 법흥왕 12년 6월 18일 새벽이었으며, 그 후 세월이 흘러 사부지 갈문왕과 당시 같이 놀러왔던 누이 어사추여랑왕이 죽었고, 이에 법흥왕 26년 7월 3일 지소태후가 어린 삼맥종(훗날의 진흥왕) 등을 데리고 옛날에 남편과 같이 새겼던 글을 기념하려 왔다는 것이 그 내용이다. 역시 총책임자, 예를 갖추기 위해 함께 한 사람, 음식을 한 사람들의 이름을 나열하였다.
이상 원명과 추명은 사각형의 테두리 안에 매우 공들여 조각한 내용이고, 그 외 기타명이라고 하여 무질서하게 새긴 것들이 많은데 이 역시 화랑 등이 유람하며 자신들의 이름이나 메세지를 새겨놓고 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무오년 6월 2일 영랑성업(戊午六月二日 永郞成業)으로 추정되는 경우 ‘무오년 6월 2일 영랑이 업적을 달성하다.’라는 의미로 ‘영랑’이라는 화랑이 어떤 목표를 달성한 것을 기념하여 새긴 것으로 보이는 문장 등이 있다.
명문이 새겨지기 전인 신석기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암각화가 새겨져 있는데, 근처에 있는 반구대 암각화나 다른 선사시대 암각화들이 주로 동물이나 일상생활, 기원 등을 묘사한 것과 다르게 마름모 혹은 정사각형, 원, 꽈배기 모양 등의 기하학적인 도형 등이 다양하게 새겨져 있으며, 대부분의 도형을 이중선으로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기하학적 문양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아직 알려진 바가
[자료적 가치]
삼국시대 및 통일기 신라의 왕족, 귀족, 화랑들이 이 바위를 찾아 이곳에 다녀갔다는 사실의 기록이나, 서석 주암면 아래쪽에 남아 있는 다양한 종류의 기하학적 추상문양은 신화학은 물론 상고시대를 바라보는 신라인의 의식을 이해하는 데도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고대로부터의 통신』 / 한국역사연구회 고대사분과 / 푸른역사, 2002 「韓半島 出土 金石文에 보이는 親族呼稱에 대하여 -川前里書石銘文을 中心으로-」 / 深津行德 / 『新羅文化祭學術論文集 -新羅 金石文의 現況과 課題-』 23, 2002 『韓國古代金石文綜合索引』 / 權悳永 / 학연문화사, 2002 「蔚州 川前里書石 原銘의 再檢討」 / 李宇泰 / 『국사관논총』 78, 1997 「古新羅의 佛敎관련 金石文」 / 金昌鎬 / 『嶺南考古學』 12, 영남고고학회, 1995 「蔚州川前里書石의 解釋 問題」 金昌鎬 / 『韓國上古史學報』19, 한국상고사학회, 1995 『韓國古代金石文資料集』Ⅱ / / 國史編纂委員會, 1995 「新羅 中古 金石文 硏究」 / 趙東元 / 『國史館論叢』 42, 국사편찬위원회, , 1993, 「蔚州書石谷における新羅葛文王一族 -乙巳年原銘·己未年追銘の一解釋-」 / 武田幸男 / 『東方學』85, 東方學會, 1993 『譯註 韓國古代金石文』Ⅱ / 韓國古代社會硏究所 編 /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울산 천전리 서석 암각화의 용」 / 전호태 / 『한국고대사연구』 77, 2015 『藏書閣所藏拓本資料集Ⅰ』 /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국학진흥연구사업추진위원회, 1997.

집필자

성인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