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봉평리신라비(鳳坪里新羅碑)

자료명 봉평리신라비(鳳坪里新羅碑) 저자 미상, 미상, 모진사리공(牟珍斯利公), 언문(言文), 술도(述刀)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MF번호
유형분류 고서/금석문 주제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수집분류 왕실/고서 자료제공처 장서각자료센터(SJ_ROY)
서지 장서각자료센터 해제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형식분류 고서-금석문
· 내용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 소장처유형 공공기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지역 강원도 울진 (현재주소: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봉평2리)
· 작성시기 524
· 비고

· 소장정보 원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현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미상
미상
모진사리공(牟珍斯利公)
언문(言文)
술도(述刀)

형태사항

· 유형 비문(碑文)
· 크기(cm) 204.0 X 54.5
· 판본 낱장
· 탁본형태 습탁(濕拓)
· 수량 1면
· 표기문자 한자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신라 봉평비의 탁본.
원자료제목
· 표제봉평리신라비(鳳坪里新羅碑)
[내용 및 특징]
1988년 11월 4일 국보 제 242호로 지정된 신라 봉평비의 탁본이다. 원비의 소재지는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봉평리 521이다. 흔히 발견된 지명을 따 ‘울진봉평비’ ‘봉평비’로 불리며, 524년(법흥왕 11)에 세워졌다. 원비는 1988년 1월 봉평2리에서 객토작업을 하던 중 발견되었고, 같은 해 4월 일반에 공개되었다.
비석은 오랜 기간 지상에 노출되지 않고 묻혀 있었기 때문에 비문이 훼손되지 않고 원형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었다. 높이는 204cm, 너비는 위로 32cm, 아랫부분이 54cm로 사다리꼴에 가까운 부정형을 이루고 있다. 약 400여 자가 새겨져 있으며 서체는 북조풍을 띈 신라식 해서체이다.
비문의 내용은 울진지방의 영토가 신라에 편입된 뒤 이곳에서 무엇인가 일이 발생하여, 중앙에서 군사를 크게 일으켜 사건을 마무리한 다음 법흥왕과 13명의 관리들이 이곳에 모여 당시 사건관련자들을 문책하는 등의 기록을 담고 있다. 이 비문은 기존의 문헌에 보이지 않는 새로운 내용들을 많이 담고 있어서 6세기경 신라의 역사 이해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즉 법흥왕 때 반포되었던 율령의 일단을 담고 있다는 점, 그리고 그것이 성문법으로 존재했다는 것을 확인시켜주고 있으며, 신라 왕경의 6부체제에 대한 시사점도 주고 있다.
이 비가 발견된 울진지역은 조선시대 행정구역으로 강원도 울진현이며, 이곳과 관련된 비문상의 지명은 거벌모라(居伐牟羅), 남칭지촌(男称只村), 갈시조촌(葛尸條村), 아대혜촌(阿大兮村)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곳과 관련된 지명은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의 울진 바로 옆의 ‘건이치(建伊峙)’. 『여지도서(與地圖書)』 강원도 울진현의 산천조에 갈령(葛嶺)이 보이고 있어 연관성을 추측하게 한다. 또한『여지도서』 울진조의 각 면에 소속된 촌·리의 명칭 가운데 원남면(遠南面)에 소속된 ‘갈면리(葛面里)’란 명칭은 갈시조촌과의 상관성을 연상하게 하고 서면(西面)의 ‘남회룡리(南回龍里)’는 남칭지촌과의 관계를 상정하게 한다.
서체는 중국 남북조시대 북조풍(北朝風)의 해서(楷書)로 되어 있으나, 자획의 형태에는 예서(隷書)의 모습이 많이 남아 있다. 비문 자체는 대체로 양호하나 이자체(異字體)가 많고 또 일부는 마멸되어 읽기 어려운 글자가 30여 자에 달한다.
문체(文體) 또한 전형적인 한문이 아니라 신라식의 독특한 한문을 사용해 해석상 애매한 곳이 적지 않아 구체적인 내용 파악은 상당히 어렵다. 그 까닭으로 논자에 따라 견해 차이를 심하게 보이는 부분도 있지만 전체적인 윤곽은 짐작할 만하
[자료적 가치]
신라 17관등(官等)의 성립연대n문제나 지방통치조직 및 촌락구조, 그리고 복속민에 대한 시책 등 신라사회 전반에 걸친 여러 면들을 재검토해볼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참고문헌

『금석문을 통한 신라사연구』/ 김두진 /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고대로부터의 통신·금석문으로 한국 고대사 읽기』/ / 한국역사연구회, 푸른역사, 2004 『금석문과 신라사』 / 주보돈 / 지식산업사, 2002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 전덕재 / 태학사, 2002 『신라 지방통치체제의 정비과정과 촌락』 / 주보돈 / 신서원, 1998 『신라 육부체제 연구』 / 전덕재 / 일조각, 1996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제2권·신라1 가야 편·』/ 한국고대사회연구소 /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한국 고대사 연구 2·울진 봉평리 신라비 특집호·』 / / 한국고대사연구회, 1989 『울진봉평 신라비 조사보고서』/ / 문화재관리국, 1988 「한국 고대의 노인과 부곡」/ 박종기 / 『한국고대사연구』43, 2006 「6세기 신라 비문의 육부 내용에 대한 지리적 검토」 / 이기봉 / 『한국학보』29, 2003 「신라 금석문의 관등명 검토」/ 김의만 /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23, 2002 「신라 봉평비의 서체」 / 손환일 / 『태동고전연구』18, 2002 「고고자료에 나타난 불교공인 이전의 신라의 지방통치」 /박희택 / 『불교고고학』1, 2001 「6세기 초반 신라 6부의 성격과 지배구조」 / 전덕재 / 『한국고대사연구』17, 2000 「냉수비 봉평비에 보이는 신라 6부의 성격」 / 전미희 / 『한국고대사연구』17, 2000 「신라 육부의 지배기구와 그 변화」 / 이문기 / 『대구사학』55, 1998 「6세기 신라의 촌락지배 강화 과정」 / 주보돈 / 『경북사학』19, 1996 「울진봉평비에 나타난 “노인”의 성격검토」 / 조법종 / 『신라문화』13, 1996 「상고기 신라육부의 성격에 대한 고찰」 / 전덕재 / 『신라문화』12, 1995 「울진봉평비와 신라의 관등제」 / 김희만 / 『경주사학』10, 1991 「6세기 초 신라의 희생례·영일냉수리비와 울진봉평비의 비문을 중심으로·」 / 신종원 / 『진단학보』70, 1990 「울진봉평비와 신라의 관등제」 / 노태돈 / 『한국고대사연구』2, 1989 「울진봉평비와 중고기의 육부문제」 / 이문기 / 『한국고대사연구』2, 1989 「新羅六部とその展開」 / 武田幸男 / 『朝鮮史硏究會論文集』28, 1991 「蔚珍鳳坪新羅碑の基礎的硏究」 / 李城市 / 『史學雜誌』98編 6號, 198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고중세사사전』 / / 가람기획, 2007. 『藏書閣所藏拓本資料集Ⅰ』 /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국학진흥연구사업추진위원회, 1997.

집필자

성인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