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영일냉수리신라비(迎日冷水里新羅碑)

자료명 영일냉수리신라비(迎日冷水里新羅碑) 저자 미상, 김씨(金氏), 미상, 미상, 미상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MF번호
유형분류 고서/금석문 주제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수집분류 왕실/고서 자료제공처 장서각자료센터(SJ_ROY)
서지 장서각자료센터 해제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형식분류 고서-금석문
· 내용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 소장처유형 공공기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일 (현재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신광면 냉수2리)
· 작성시기 503
· 비고

· 소장정보 원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현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미상
김씨(金氏)
미상
미상
미상

형태사항

· 크기(cm) 60.0 X 30.3
· 판본 낱장
· 탁본형태 습탁(濕拓)
· 수량 1면
· 표기문자 한자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국보 264호인 영일냉수리비 탁본.
원자료제목
· 표제영일냉수리신라비(迎日冷水里新羅碑)
[내용 및 특징]
국보 제 264호인 영일냉수리비의 탁본이다. 이 비는 1989년 3월 경북 영일군 신광면 냉수2리에서 발견되었으며, 현재는 영일군 신광면에 비각을 세워 보존하고 있다. 최초의 발견자는 냉수2리 이상운(李相雲)이며, 1989년 4월 13일 각 일간지에 발견 사실이 보도됨으로써 알려지게 되었다. 1990년대부터 역사학 및 경제사, 서예사 분야에서 꾸준한 연구가 진행되어오고 있다.
원비의 크기는 폭 70cm, 높이 60cm, 두께 30cm로 하단이 넓고 상단은 폭이 축소되었다. 비석의 전면은 상단과 하단의 가로가 각각 65cm, 73cm이고, 후면은 가로 65cm, 세로의 우측과 좌측이 49cm, 69cm이며, 상면은 가로 64cm, 세로 30cm이며, 측면은 폭이 30cm이다.
비문은 전면에 12행 125자, 후면에 7행 59자, 상면에 5행 20자가 새겨져 있어 총 24행 231자이다. 글자를 새김에는 세로줄과 가로줄이 맞추어지지 않아 행마다의 글자수도 일정하지 않다. 글자의 크기도 일정하지 않아 전면의 글자 가운데 가장 큰 자는 길이와 폭이 각 5cm이고, 가장 작은 자는 길이와 폭이 1~3cm이며, 후면에서 큰 글자는 길이와 폭이 7~5cm이고, 상면의 글자 가운데 큰 자는 길이와 폭이 7~5cm에 달하는 글자도 있다. 서체에 대해서는 해서체로 쓰였으나 예서체의 기풍이 농후히 남아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있고, 고예(古隷)에 가까운 서체로 전(篆)·초(草)의 자획까지 남아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그리고 본 비문에는 자전(字典)에 없는 글자가 등장해 이 당시 문자사용의 경향도 짐작하게 한다.
이 비의 건립연대를 추정하게 하는 것은 계미년(癸未年)이라는 간지와 사부지왕(斯夫智王)·내지왕(乃智王)·지도로갈문왕(至都盧葛文王)의 존재이다. 사부지왕은 실성왕(實聖王)에 비정되고, 내지왕은 눌지왕(訥祗王)에 비정되며, 지도로갈문왕은 지증왕(智證王)이 왕이 되기 전의 직함이다. 이러한 근거 위에서 이 비의 건립연대에 대해서는 503년(지증왕 4)으로 보는 견해, 443년(눌지마립간 27)으로 보는 견해, 383년(내물마립간 28)으로 보는 견해가 제기되었는데, 문화재위원회에서는 이 비를 국보로 지정하면서 건립연대를 503년으로 하였다.
냉수리비는 현재까지 발견된 신라시대의 비석 가운데서도 이른 시기에 해당한다. 그리고 그 내용도 6부문제와 관련되는 것, 갈문왕의 성격과 관련되는 것, 관등·관직과 관련되는 것, 지방통치조직과 관련되는 것, 촌주(村主)를 포함한 재지세력의 존재양태와 관련되는 것, 중앙의 정치운영 방식과 관련되는 것, 재산의 상속과 관련되는 경제적인 측면의 것 등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어 5~6세기의 신라의 정치·경제·사회사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어왔다.
냉수리 신라비는 형태 및 내용상에서 몇 가지 특징과 의의를 보인다. 먼저 형태상에서 볼 때 상면에 촌주와 관련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상면에 글자를 새긴 것은 이 비가 최초이다. 한편, 내용상 의의는 첫째, 현재까지 발견된 신라시대의 비 중에서 포항 중성리 신라비 다음으로 연대가 빠르다는 점, 둘째, 한 인물의 재산 소유와 상속 문제를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어 이 시기 경제 관계 연구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는 점, 셋째, 6부·갈문왕·사라·관등·촌주·도사 등 정치·제도사와 관련된 중요한 내용을 다수 보이고 있다는 점, 넷째, 국어학적으로 이두(吏讀)의 성립 시기와 성립 과정을 추정하게 하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 등이다. 그리고 서체상에서 볼 때 자전(字典)에 나오지 않는 ‘사(斯)’자가 전면에 다섯 번 나오고 있어 신라식 문자생활 방식을 추정할 수 있다.
[자료적 가치]
울진 봉평리 신라비와 긴밀한 상보적 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5∼6세기 신라의 정치·경제·제도사 정리에 기본적인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금석문을 통한 신라사연구』/ 김두진 /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고대로부터의 통신·금석문으로 한국 고대사 읽기』 / / 한국역사연구회, 푸른역사, 2004 『금석문과 신라사』/ 주보돈 / 지식산업사, 2002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전덕재 / 태학사, 2002 『신라 지방통치체제의 정비과정과 촌락』/ 주보돈 / 신서원, 1998 『신라 육부체제 연구』/ 전덕재 / 일조각, 1996 『역주 한국고대금석문』제2권, 신라1 가야 편 /한국고대사회연구소 /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영일 냉수리 신라비(가칭)의 종합적 검토』/ / 한국고대사연구회, 1989 『영일 냉수리 신라비의 발굴조사』 / /모산학술재단, 1989 「신라 금석문의 관등명 검토」/ 김의만 /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23, 2002 「고고자료에 나타난 불교공인 이전의 신라의 지방통치」 / 박희택 / 『불교고고학』1, 2001 「6세기 초반 신라 6부의 성격과 지배구조」/ 전덕재 / 『한국고대사연구』17, 2000 「냉수비·봉평비에 보이는 신라 6부의 성격」/ 전미희 / 『한국고대사연구』17, 2000 「신라 육부의 지배기구와 그 변화」/ 이문기 / 『대구사학』55, 1998 「6세기 신라의 촌락지배 강화 과정」/ 주보돈 / 『경북사학』19, 1996 「상고기 신라육부의 성격에 대한 고찰」/ 전덕재 / 『신라문화』12, 1995 「영일 냉수리비를 통해 본 5·6세기 신라의 재산상속」(박향미, 『경북사학』17·18, 1995 「영일 냉수리비를 통하여 본 신라의 통치체제」/ / 『이기백선생고희기념 한국사학논총』, 1994 「영일 냉수비의 재검토」/ 이우태 / 『신라문화』9, 1992 「6세기 초 신라의 희생예」/ 신종원 / 『진단학보』70, 1990 「영일 냉수리비에 보이는 지도로갈문왕에 대한 몇가지 문제」/ 이희관 / 『한국학보』60, 1990 「영일냉수리비의 금석학적 고찰」/ 정구복 / 『한국고대사연구』3, 1990 「영일냉수리비의 언어학적 고찰」 /김영만 / 『한국고대사연구』3, 1990 「영일냉수리 신라비」/ 김창호 / 『신라문화제학술발표회논문집』11, 1990 「영일냉수리신라비에 대한 기초적 검토」/ 주보돈 / 『신라문화』6, 1990 「영일냉수리신라비에 보이는 관등·관직 문제」 / 선석열 / 『한국고대사연구』3, 1990 「영일냉수리신라비에 보이는 부의 성격과 정치운영 문제」/ 문경현 / 『한국고대사연구』3, 1990 「영일냉수리신라비의 5∼6세기 신라의 사회경제상」/ 안병우 / 『한국고대사연구』3, 1990 「영일냉수리신라비의 건립 연대」/ 김창호 / 『한국고대사연구』3, 1990 「영일냉수리신라비의 ‘계미년’에 대하여」 / 김영만 / 『신라문화제학술발표회논문집』11, 1990 「영일냉수리신라비의 석문과 내용분석」 / 최광식 / 『신라문화제학술발표회논문집』11, 1990 「영일 냉수비와 신라의 관등제」 / 김희만 / 『경주사학』9, 1990 「영일지방의 역사·지리적 고찰」 / 이형우 / 『한국고대사연구』3, 1990 「영일냉수리 신라비에 대한 기초적 검토」/ 주보돈 / 『신라문화』6, 1989 「新羅六部とその展開」/ 武田幸男 / 『朝鮮史硏究會論文集』28, 1991 「迎日冷水里新羅碑について」 / 深津行德 / 『韓』116, 1990 『藏書閣所藏拓本資料集Ⅰ』/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국학진흥연구사업추진위원회, 1997.

집필자

성인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