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군현시첩(群賢詩牒)

자료명 군현시첩(群賢詩牒) 저자 미상, 김육(金堉), 조석윤(趙錫胤), 김익희(金益熙), 이명한(李明漢), 홍명하(洪命夏), 유계(兪棨), 조종저(趙宗著), 이경석(李景奭), 정치화(鄭致和), 김수항(金壽恒), 이단하(李端夏), 홍주원(洪柱元), 남용익(南龍翼), 이훤(李藼), 조상우(趙相愚), 김창흡(金昌翕), 김진규(金鎭圭), 이건명(李健命), 오태주(吳泰周), 권상하(權尙夏), 윤순(尹淳), 이방언(李邦彦), 이세최(李世最), 김창국(金昌國), 김제겸(金濟謙), 윤덕준(尹德駿), 김보택(金普澤), 유명건(兪命健), 미상, 미상
자료명(이칭) 群賢詩牒 저자(이칭) 金堉(朝鮮)等著; , 김육(조선)등저;e조상우(조선)등서(金堉(朝鮮)等著;e趙相愚(朝鮮)等書) , 김육(金堉)|조상우(趙相愚)
청구기호 K3-470 MF번호
유형분류 고서/금석문 주제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수집분류 왕실/고서 자료제공처 장서각자료센터(SJ_ROY)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형식분류 고서-금석문
· 내용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 소장처유형 공공기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지역 미상 (현재주소: 미상)
· 비고 3470

· 소장정보 원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현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미상
김육(金堉)
조석윤(趙錫胤)
김익희(金益熙)
이명한(李明漢)
홍명하(洪命夏)
유계(兪棨)
조종저(趙宗著)
이경석(李景奭)
정치화(鄭致和)
김수항(金壽恒)
이단하(李端夏)
홍주원(洪柱元)
남용익(南龍翼)
이훤(李藼)
조상우(趙相愚)
김창흡(金昌翕)
김진규(金鎭圭)
이건명(李健命)
오태주(吳泰周)
권상하(權尙夏)
윤순(尹淳)
이방언(李邦彦)
이세최(李世最)
김창국(金昌國)
김제겸(金濟謙)
윤덕준(尹德駿)
김보택(金普澤)
유명건(兪命健)
미상
미상

형태사항

· 유형 시비(詩碑)
· 크기(cm) 41.1 X 31.9
· 판본 첩장본(帖裝本)
· 탁본형태 습탁(濕拓)
· 표기문자 한자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유철(兪㯙)이 받은 시를 후손들이 새겨 탁본한 시첩.
원자료제목
· 표제군현시첩(群賢詩牒)
[내용 및 특징]
취옹(醉翁) 유철(兪㯙, 1606~1671, 선조39~현종12)에게 보낸 당시의 저명한 문신․학자들의 시를 그의 아들 유명건(兪命健)과 손자인 백락헌(自樂軒) 위최기(兪最基, 1689~1768), 지수재(知守齋) 유척기(兪拓基, 1691~1767)가 모아 서가들에게 글씨를 부탁한 뒤 이 14수의 시로 시비(詩碑)를 만들어 탁본, 절첩형(1책 13절)으로 만든 시첩이다.
유철의 아들인 유명건은 유철의 신도비를 세운 뒤 아들인 유최기․유척기에게 아버지 유철에게 보낸 시를 글씨로 남겨 두게 하였는데, 유명건이 세상을 떠난 뒤 그의 아들들이 시비를 세워 현재의 「군현시첩」이 전해지게 되었다. 이 시첩의 가장 마지막에 실려 있는 시는 도촌(道村) 이훤(李藼)이 짓고 유명건이 전서로 썼는데, 마지막 시의 “불초자유명건(不肖子兪命健)”이라는 낙관에서 그의 아버지인 유철과 관련된 시들을 모아 엮은 시첩임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몇몇 시의 내용을 통해 보면 이 14수의 시들은 유철과 동세대 혹은 그보다 조금 뒤의 문신․학자들이 그에 관해 읊은 시들을 둘째 아들인 유명건이 모아 엮은 시집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적한다면, 시남(市南) 유계(兪棨)가 짓고 수암(遂菴) 권상하(權尙夏)가 쓴 "연행증별시(燕行贈別詩)"는 유계의 유문을 엮은 『시남선생문집(市南先生文集)』에는 "문유방숙철부연참간증별(聞兪方叔㯙赴燕朁簡贈別)"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어 청나라 연경에 사절로 나아가게 된 유철에게 증별의 시를 보낸 것임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낙정(樂靜) 조석윤(趙錫胤)의 『낙정집(樂靜集)』에는 "여이사회유방숙동입은대술회유작(與李士會兪方叔同入銀臺述懷有作)"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어 그가 유철과 함께 승정원에서 지낸 일을 생각하며 동갑 친구로서의 우정을 나눈 시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창주(滄洲) 김익희(金益熙)의 『창주유고(滄洲遺稿)』와 호곡(壺谷) 남용익(南龍翼)의 『호곡집(壺谷集)』에는 각각 "모우방유방숙철심천이조수이재소차천이운(冒雨訪兪方叔㯙沈天以曹守而齋所次天以韻)"․ "유참판철만(兪參判㯙挽)"의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어 이 시첩이 그와의 깊은 우정의 상징물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군현시첩」에 실려 있는 필적들은 각기 다른 서가들에 의해 쓰여 졌으며, 전서․해서․행서와 초서의 필의가 섞여진 서체들로서 다양하다. "주천증별시(酒泉贈別詩)"는 잠곡(潛谷) 김육(金堉, 1580~1658)이 짓고 동강(東岡) 조상우(趙相愚, 1640~1718)가 썼다. 서체는 행서로 필획이 강하고 굳센 필체이다. 행서로서 흐름이 자연스럽지 못하나 글자의 결구는 안정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은대술회시(銀臺述懷詩)"는 낙정(樂靜) 조석윤(趙錫胤, 1606~1655)이 짓고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 1653~1722)이 쓴 해서이다. 글자의 구성이 성글성글하여 초솔(草率)한 맛을 느끼게 한다. "모우래방시(冒雨來訪詩)"는 창주(滄洲) 김익희(金益熙, 1610~1656)가 짓고 죽천(竹泉) 김진규(金鎭圭, 1658~1716)가 쓴 행서이다. 안정된 결구와 탄탄한 획의 질감을 느낄 수 있다. "영영증별시(嶺營贈別詩)"는 백주(白洲) 이명한(李明漢, 1595~1645)이 짓고 한포재(寒圃齋) 이건명(李健命, 1663~1722)이 쓴 행서작품이다. 다소 마른 듯한 수획(瘦劃)으로 이루어져 있어 꼿꼿한 필심(筆心)을 연상하게 하는 글씨라 하겠다. 두 번째 "영영증별시"는 기천(沂川) 홍명하(洪命夏, 1608~1668)가 짓고 취몽헌(醉夢軒) 오태주(吳泰周, 1668~1716)가 쓴 행서이다. 점획의 비수(肥瘦)․강약(强弱) 등의 대비가 심하지 않고 변화가 적어 단조로운 맛이 있기는 하나 두터운 획과 긴밀한 자간처리가 장중하고 후덕한 맛을 느끼게 한다.
"연행증별시"는 시남(市南) 유계(兪棨, 1607~1664)가 짓고 수암(遂菴) 권상하(權尙夏, 1641~1721)가 쓴 행서이다. 부분적으로 초서의 필의를 섞어 쓴 작품으로, 강직하고 둔중한 맛을 주는 글씨이다. "강각래방시(江閣來訪詩)"는 남악(南萼) 조종저(趙宗著, 1631~1690)가 짓고 백하(白下) 윤순(尹淳, 1680~1741)이 쓴 해서이다. 둥글고 원만하며 넉넉한 느낌을 주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필획 역시 두텁고 부드러운 느낌을 둔다. 그 다음에 실려 있는 시는 제목이 밝혀져 있지 않은데, 시를 지은 사람은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 1595~1671)이고, 글씨를 쓴 사람은 이방언(李邦彦)이다. 전서체로 소전(小篆)에 속한다. 원만한 좌우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전절(轉折)부분이 둥글게 잘 처리되어 있다.
기주(棋洲) 정치화(鄭致和, 1609~1677)가 짓고 이세최(李世最, 1664~1726)가 쓴 다음의 시는 전서체로 특히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글씨와 흡사한 필체이다. 그 다음에 수록되어 있는 시는 문곡(文谷) 김수항(金壽恒, 1629~1689)이 짓고 의주목사(義禁府使) 김창국(金昌國, 1644~1717)이 썼다. 서체는 소전이다. 자간의 처리가 엄격하게 처리되었으며 필획의 질감은 중심의 강한 철심(鐵心) 주위에 부드러운 것이 감싸고 있는 듯 둥근 원필과 중봉에 의한 질감을 느끼게 한다.
다음의 시는 외재(畏齋) 이단하(李端夏, 1625~1689)가 쓰고 죽취(竹醉) 김제겸(金濟謙, 1625~1689)이 쓴 소전이다. 긴 장방형의 자형을 취하고 있으며 엄숙(嚴肅)하고 세련(洗練)되며 정치(精緻)한 맛을 느끼게 한다. 다음은 무하당(無何堂) 홍주원(洪柱元, 1606~1672)이 짓고 일암(逸庵) 윤덕준(尹德駿, 1658~1717)이 쓴 소전이다. 다소 치졸하고 초솔하며 소박한 분위기를 자아내게 하는 필치이다. 그 다음의 글씨는 호곡(壺谷) 남용익(南龍翼, 1628~1692)이 짓고 척재(惕齋) 김보택(金普澤, 1672~1717)이 쓴 소전이다. 마지막에 수록되어 있는 시는 도촌(道村) 이훤(李藼, 1628~1679)이 짓고 나주목사 유명건이 쓴 전서체로 섬세하고 조심스러운 운필로 쓴 글씨이다.
[자료적 가치]
17세기 유철을 위시한 기계유씨 집안의 인적 교유양상을 확인할 수 있고, 당파를 떠나 당대 명필로 이름난 인사들의 서체를 한곳에서 감상할 수 있는 귀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國朝人物考』 『市南全集』 / / 여강출판사, 1986. 『滄洲遺稿』 / / 『한국문집총간』 119, 민족문화추진회, 1990. 『樂靜集』/ / 『한국문집총간』 105, 민족문화추진회, 1990. 『白洲集』/ / 『한국문집총간』 97, 민족문화추진회, 1993. 『南萼先生文集』 / / 『한국역대문집총서』 1187, 경인문화사, 1994. 『壺谷先生文集』 / / 『한국역대문집총서』 2539~41, 경인문화사, 1998. 『藏書閣所藏拓本資料解題Ⅱ-帖裝本』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5.

집필자

성인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