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됴야회통(조야회통)

자료명 됴야회통(조야회통)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됴야회통 , 조야회통(됴야회통n1-54책) 저자(이칭) [編者未詳] , 편자 미상(編者未詳)
청구기호 K2-97 MF번호 MF35-1278~1281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編年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사년미상(寫年未詳)
· 청구기호 K2-97
· 마이크로필름 MF35-1278~1281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21.2~22.4 X 19.3~21.3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불분권(不分卷) 54책(冊)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 태조부터 영조 초까지를 다룬 야사 형식의 사서인 한문본 『朝野會通』을 언해한 편년체 사서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은 ‘朝野會通’, 卷首題는 ‘됴야회통’이다. 표지는 황색으로 卍字文이며, 五針眼으로 線裝되었다. 표지 서명은 제첨 없이 필사되었고, 아래에는 冊次가 ‘一·二 …… 五十四’로 표기되어 있다. 앞표지 우측에 ‘太祖朝’, ‘定宗朝’와 같은 편명이 기재되어 있다. 제1책 제1면에는 한글로 편명을 필사하였는데, ‘태조조 원년임신으로부터 칠년무인의니르다’, ‘정종조 원년기묘로부터 이년경진의니르다’와 같이 표시하였다. 본문은 한글 궁서체로 정서하였다.
체제 및 내용
본서에서는 저자를 따로 밝히고 있지 않으나, 『연려실기술 별집』 「야사목록」에는 金載久의 저술로 기록되어 있다. 편찬 시기는 미상이나 영조 초기까지를 다룬 것으로 보아 정조 이후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역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영조 이후 궁중에 있던 여성 독자를 대상으로 번역한 것이다. 번역 시 한문본에 대한 가감이 있어 사료 측면에서도 참고가 된다.
본서는 조선 역대 왕들의 업적을 정리한 것으로 1~55책에 조선 태조의 탄생부터 영조 초년까지의 기사가 실려 있다. 그런데 장서각 소장본은 총 55책 가운데 광해 5~6년에 해당하는 22책이 빠진 낙질본으로, 현재 54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1책은 太祖~定宗, 2책은 太宗~世宗, 3책은 世宗, 4책은 文宗, 5책은 端宗, 6책은 世祖~睿宗, 7책은 成宗, 8책은 成宗~燕山君, 9책은 燕山君~中宗, 10책은 中宗, 11책은 仁宗~明宗, 12책은 明宗, 13책에서 20책은 宣祖, 21~22책은 光海君, 23~27책은 仁祖, 28책은 孝宗, 29책은 顯宗, 30~36책은 肅宗, 37~53책은 景宗, 54책은 英祖를 다루었다.
책의 내용을 보면 1~36책 숙종까지는 대체로 편년순에 따라 편찬이 정연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37책 경종 이후에는 기사의 내용도 길어지고 파당 대립에 따른 글을 별도로 실어 서술이 일정하지 않다. 특히 경종은 재위 기간에 비해 15책이나 되는 분량으로 내용이 자세하다. 39책 이하는 책의 순서에 착오가 있으며, 이를 시간순으로 재배치하면 38 - 40 - 39 - 41- 42- 43 - 48 - 49 - 44 - 45 - 46 - 47- 51- 53 - 52 - 54- 50 - 55의 순서가 된다. 이는 여러 사람이 필사 과정에 참여하였기 때문에 착란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金載久, 『朝野會通』,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9.

집필자

박인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