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동국사략(東國史略)

자료명 동국사략(東國史略) 저자 현채(玄采)
자료명(이칭) 東國史略 저자(이칭) 玄采(朝鮮) 譯述
청구기호 K2-45 MF번호 MF35-1197, 439, 47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編年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 원문이미지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06(광무 10년)
· 청구기호 K2-45
· 마이크로필름 MF35-1197, 439, 477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현채(玄采) 역술(譯述)

형태사항

· 크기(cm) 25.1 X 17.5
· 판본 신연활자본(新鉛活字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4권(卷) 4책(冊)
· 판식 반곽(半郭) 17.3×11.8cm
· 인장 藏書閣圖書印, 李王家圖書之章, 監修部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06년(광무 10)玄采(1886~1925)가 단군조선에서 구한말까지 우리나라 역사의 중요한 주제들을 한말의 계몽적 시각에서 역술한 통사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 版心題, 書根題는 모두 ‘東國史略’이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冊次가 ‘一·二·三’으로 표기되어 있다. 題籤은 서명과 테두리가 모두 인쇄되었는데, 1책은 결락되어 그 위에 서명을 필사하였다. 본문은 洋紙에 新鉛活字本으로 인쇄되었는데, 卷首에 1906년(광무 10)에 쓰인 安鍾和(1680~1924)의 序와 玄采의 自序, 版權紙의 刊記를 통해 본 도서가 1906년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1책 제1면 序文의 우측 상단에는 ‘藏書閣圖書印’, 권수제의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 우측 하단에는 ‘監修部’가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玄采가 일본인 하야시 다이스케(林泰輔, 1854~1922)가 저술한 『조선사』와 『조선근세사』를 바탕으로 편역한 것이다. 권1은 太古史로 단군조선에서 삼한 건국, 上古史로 삼국 분립에서 풍속, 권2는 中古史로 고려 태조 창업에서 풍속, 권3은 近世史 朝鮮記 上으로 왕조 창업에서 임진난, 권4는 近世史 朝鮮記 下로 滿洲入寇에서 청일전쟁까지를 다루었다. 부록으로 甲午後 10년 기사를 첨부하고 있다.
비록 하야시의 책을 따른 것이지만 우리나라 역사를 태고사·상고사·중고사·근세사의 근대적 시대구분 방식으로 나누어 서술한 점, 하야시가 개국 기원으로 처리하였던 우리나라 역사의 시작을 단군조선으로 서술한 점, 임나일본부에 바탕을 둔 삼국시대 임나에 대한 서술을 생략한 점, 하야시 속국설을 배제하고 조선의 건국을 태조의 위업으로 설명한 점, 임난 시 의병의 활약을 보강한 점 등은 현채의 생각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가야일본에 조공하였다고 서술한 점, 신공왕후신라 정벌을 인정한 점 등은 식민사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이전의 역사 서술에서는 대체로 왕조의 흥망과 왕의 업적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으나, 본서에서는 주제별로 내용을 서술하였을 뿐만 아니라 제도, 문학, 기술, 산업, 풍속 등의 장을 두어 종래 정치사 중심의 역사 서술에서 벗어나 주제별 문화사를 서술한 특징이 있다.
동국사략』은 1906년(광무 10) 초판본이 나온 이래 1907년(융희 1) 再版을 찍으면서 『中等敎科 東國史略』으로 개명하고 을사조약 이후의 내용을 추보하였으며, 1908년(융희 2) 3판을 찍으면서 융희 관련 기사를 추보하였다. 그러나 이 책도 1909년(융희 3) 발간이 금지되었다. 그 후 1924년 간행 시에는 『東史提綱』, 1928년에는 『半萬年 朝鮮歷史』로 개명하여 계속 출판하여 한말에서 일제강점기까지 계속 역사 교과서의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계속된 수정 과정에서도 식민사학에 경도되었던 내용은 수정되지 않았다.
특성 및 가치
전통적인 편년적·정치사적 서술에서 벗어나 근대적 시대구분 방식, 주제별 서술 등 근대적 역사학 서술 방식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서술 방식은 하야시의 한국사 서술 방식을 채택한 것으로 그 과정에서 하야시의 식민 논리까지 무분별하게 도입함으로써 역사학에서 식민사관이 침투하는 경로가 되었다.

참고문헌

東國史略』, 普成館, 1906; 學民文化社, 1994.
東史提綱』, 大昌書院, 1924.
半萬年 朝鮮歷史』, 德興書林, 1928.
韓國史學史資料大系』 2, 民族文化社, 1987.
中等敎科東國史略』, 韓印刷株式會社, 1908
韓國開化期敎科書叢書』 16, 亞細亞文化社, 1977.KNL

집필자

박인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