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죽하일록(竹下日錄)

자료명 죽하일록(竹下日錄) 저자 김익(조선)(金熤(朝鮮)) 찬(撰)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K2-293 MF번호 MF35-1493
유형분류 고서/일기 주제분류 개인/생활/일기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사년미상(寫年未詳)
· 청구기호 K2-293
· 마이크로필름 MF35-149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김익(金熤) 찬(撰)

형태사항

· 크기(cm) 29.8 X 19.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9권(卷) 9책(冊)
· 판식 반곽(半郭) 22.8×15.9cm
· 인장 藏書閣圖書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정조 연간 영의정을 역임한 金熤(1723~1790)이 과거 급제를 시작으로 관직에 진출한 뒤 관직 생활을 일기체로 기록한 책이다.
서지사항
필사한 인찰공책지를 사용하였으며 앞표지에 표지 서명 ‘竹下日錄’과 책차, 篇目, 총 책 수가 필사되어 있다. 본문은 誤字를 刀割한 후 다른 종이를 덧대어 수정한 흔적 등이 있다. 제3, 5~7책 앞표지 면지 좌측 상단에 ‘二卷’ 등 각 책의 卷次가 기재된 籤紙가 부착되어 있다. 書根題는 ‘日記’이며, 각 책 제2면 目錄에 ‘藏書閣圖書印’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표제는 ‘竹下日錄’으로 모두 9권 9책이다. 본서 각 권의 서술 시기는 다음의 표와 같다.
권차
권1癸未(1763)癸巳(1773)
권2甲午(1774)己亥上(1779)
권3己亥下(1779)壬寅上(1782)
권4壬寅下(1782)癸卯上(1783)
권5癸卯下(1783)甲辰上(1784)
권6甲辰下(1784)乙巳(1785)
권7丙午上(1786)
권8丙午下(1786)戊申上(1788)
권9戊申下(1788)庚戌(1790)

권1의 시작에 앞서 찬자가 역임한 관직과 횟수를 열거하였다. 본문의 서술 방식은 일자를 먼저 적기하고, 해당 일자에 있었던 일을 기록하였다. 본문의 내용은 영조가 70세를 기념하여 大增廣試를 시행하여 40여 명을 취한 것부터 시작되는데, 이 시기는 찬자가 과거에 급제한 시기이다. 이후 서술은 찬자의 관직 이력을 비롯해 본인이 제출한 상소의 전문, 경연에 참석해서 논의했던 내용, 국왕 및 조정의 동정 등을 수록하고 있다.
이력과 관련해서는 관직 제수 시에 해당 정사를 주관했던 이조판서참의 명단을 기록한 것은 물론이고, 파직이나 遞差 혹은 譴罰 등이 있을 때는 그 배경을 세주로 자세하게 기록하였다. 이 밖에도 작성하였으나 登徹되지 않는 1764년(영조 40) 4월 28일 조와 1772년(영조 48) 10월 9일 조의 상소 전문을 수록하였다. 특히 등철되지 않는 상소의 내용을 통해서 그의 정치적 성향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1772년 10월 9일 조에 기록된 상소에는 소론의 李光佐·趙泰耉·崔錫恒의 복관을 비난하는 내용을 싣고 있어 노론으로서 정치 활동을 살필 수가 있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김익의 개인 일기로 그의 행적은 물론이고, 筵說 등을 통해서 생각이나 의식까지도 살필 수 있다. 또한 김익의 문집인 『竹下集』에 수록된 각종 상소나 啓辭 등이 작성된 배경까지도 파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김익영의정까지 역임했을 정도로 정치적 비중이 있던 인물이기에, 본서는 영조 대 후반부터 정조 대 중반까지의 정국 상황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집필자

이근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