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국조보감(國朝寶鑑)

자료명 국조보감(國朝寶鑑) 저자 헌종(憲宗), 조인영(趙寅永)
자료명(이칭) 國朝寶鑑 저자(이칭) 正祖(朝鮮王, 1777-1800) 命纂 ;
청구기호 K2-19 MF번호 MF35-1141∼1144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編年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48(헌종 14년)
· 청구기호 K2-19
· 마이크로필름 MF35-1141∼1144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헌종(憲宗) 명찬(命撰)

형태사항

· 크기(cm) 37.0 X 24.0
· 판본 목판본(木版本)(정유자번각판(丁酉字飜刻版))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82권(卷) 26책(冊)
· 판식 반곽(半郭) 23.1×16.9cm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憲宗(1827~1849)의 명령에 의해 趙寅永(1782~1850) 등이 정조, 순조, 익종 등 3朝의 寶鑑을 편찬하고 이를 기왕의 보감과 합하여 1848년(헌종 14)에 완성한 편년체 역사서이다.
서지사항
1848년(헌종 14)에 간행한 丁酉字飜刻本으로 앞표지에 表紙書名·冊次·篇目·書腦 하단에 총 책수 ‘共二十六’이 필사되어 있다. 別編은 없으나 印出紙는 帖冊紙를 사용하고 面紙와 空隔紙는 草注紙를 사용하였으며, 정조의 序文 뒤에 ‘奎章之寶’가 朱色으로 인쇄된 것으로 볼 때 진상용임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國朝寶鑑』은 先王의 언행 중에서 후대 왕에게 모범이 될 만한 善政과 嘉言을 골라 연대순으로 정리한 편년체 역사서로서 세조·숙종·영조·정조·헌종·순종, 그리고 일제강점기까지 총 일곱 차례 편찬되었다.
헌종 재위 때인 1848년(헌종 14)에 편찬된 『국조보감』은 1782년(정조 6)에 완성된 68권 22책의 寶鑑에 14권 4책이 추가되어 총 82권 26책이 되었다. 구체적으로는 『正祖寶鑑』 7권 2책, 『純祖寶鑑』 5권 1책, 『翼宗寶鑑』 2권 1책이 추가되었다. 정조헌종의 御製序, 舊箋文과 新箋文, 참여자 명단, 總序, 凡例, 目錄, 태조부터 익종까지의 寶鑑, 舊跋文 新跋文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정조헌종의 御製序, 그리고 舊箋文과 新跋文에는 『국조보감』의 편찬 경위 및 편찬 의의가 언급되어 있다. 참여자 명단에는 總裁大臣 趙寅永(1782~1850)을 위시하여 校正者, 考校者, 繕寫者, 參訂者, 御製 校閱者, 御製 書寫者, 監印者의 명단이 수록되어 있다. 總序에는 『국조보감』 편찬의 유래와 의의에 대한 언급이 있으며, 凡例에는 『국조보감』 편찬의 기본 원칙이 수록되어 있다. 目錄에는 태조부터 익종까지 各朝 寶鑑의 권수 및 책 수가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國朝寶鑑의 編纂經緯」, 鄭亨愚, 『동방학지』 33,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2.

집필자

신명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