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역대기년(력긔년)

자료명 역대기년(력긔년)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역대긔년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126 MF번호 MF35-28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編年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사년미상(寫年未詳)
· 청구기호 K2-126
· 마이크로필름 MF35-287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25.6 X 20.0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인장 藏書閣圖書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南朝 부터 明 永曆帝까지 간략한 역대 왕조별 중국 역사를 조선에서 언해한 것이다.
서지사항
無界, 無郭의 楮紙에 반듯한 正方形의 宮書體로 필사된 한글본이다. 表紙書名은 ‘歷代記年’이다. 표지 서명 하단에 冊次가 ‘單’으로 표기되어 있다. 서.발문 및 筆寫記가 없어 정확한 필사 연대를 알 수 없다. K2-127보다 책 크기가 작으며, 필체가 단정하다. 제1면 우측 상단에는 ‘藏書閣圖書印’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南朝 宋 高祖 武帝(420년)부터 明 永曆帝(1279년)까지 역대 왕조의 황제별 기년을 한글로 서술하였다. 구성은 南朝의 (420~479), (479~502), (502~557), (557~589), 北朝의 後魏(北魏의 다른 명칭, 386~534), 西魏(535~556), 東魏(534~550), (北齊, 550~577), 後周(北周, 557~581), (581~618), (618~907), 後梁(907~923), 後唐(923~936), 後晉(936~946), 後漢(947~951), 後周(951~960), (960~1279), (916~1125), (1115~1234), (1260~1367), 皇明(1368~1644)의 순서로 되어 있다.
서술 방식은 중국 역대 제왕의 이름을 적고 그 다음에 享國의 遲速, 得年의 長短, 陵寢의 소재, 后妃의 家系 등을 왕조순으로 일목요연하게 구성하였다. 별도로 漢 高祖宋 太祖 등은 다른 황제들과 달리 創業의 내력과 왕통의 계승 등을 자세히 적었다. 단순히 왕조별로 황제에 관련한 개괄적인 내용을 서술한 형태로 보아 아동과 부녀자를 대상으로 간략하게 각 왕조를 소개할 목적으로 편찬한 의도가 짐작된다.
특성 및 가치
규장각 소장 『歷代紀年』은 정조가 동궁 시절에 편찬한 중국 역대 제왕의 일람표로 3권 2책의 활자본이다. 이에 비해 장서각 소장 『력(E3A8)긔년』은 정조 대 이후 한문으로 편찬된 『역대기년』을 한글로 옮겨 적은 것으로, 아동과 부녀자에게 널리 읽히기 위해 필사된 것으로 보인다. 본서에 수록된 왕조는 정통론을 중심으로 선정되어 春秋大一統의 원칙을 준수한 것으로 보인다. 형식은 왕조별 편년체이지만, 남북조시대부터 명대까지 역사를 서술하면서 청대를 제외한 점과 명대를 황명으로 서술한 점 등으로 보아 본서는 조선 후기 간략한 역사 소개서의 목적으로 편찬되어 널리 읽힌 편년체 중국 역사서로서 의미가 있다.

집필자

김경록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